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선의 힘 : 아주 아카데믹하지 않아서 더욱 아카데믹한 단상 7] 172에 48키로 여자 일기 (김정원)

시선의 힘

by 제3시대 2016. 12. 19. 22:42

본문



172에 48키로 여자 일기




 김정원*


    내 일상에 가장 깊숙하게 스민 욕망 중 하나가 ‘마른 몸’이다. 이 욕망의 출발이 어디인지는 모르겠지만, 마른 몸을 아름답다고 생각한지는 꽤 오래되었다.



    중학교 시절의 나는 아주 바짝 마른 여자아이였다. 키는 날로 크는데, 살은 당최 붙질 않았다. 키에 맞춰 교복을 입고 있었던 지라, 자루를 뒤집어 쓴 허수아비가 따로 없었다. 중학교 3학년이 되어 키는 170이 다 돼 가는데, 몸무게는 겨우 40키로에 그쳤다. 아빠는 ‘용든약’을 지어왔다. 약발이 좋았는지 겨우내 살이 올랐고, 고등학교에 갈 적엔 48키로까지 몸이 커져 있었다. 그거나 거기까지였다. 키는 172까지 계속 컸지만 몸에 살은 붙지 않았다. 다이어트커녕 한 끼도 놓치지 않고 꼬박 밥을 먹어도 ‘축복받은 유전자’ 덕으로 나는 계속해서 ‘마른 여자’였다. 그로부터 쭉 48키로는 어김이 없이 나와 붙어있는 숫자였다. 대학에 들어가고, 대학원에 들어가도록 몸무게는 변하지 않았다. 이제 48은 나의 정체성이 되었고, 나는 그대로 48키로의 여자로 살아가고자 했다. 종이 인형이란 말을 듣고, 방아깨비 다리 같다는 얘길 들어도 나는 아랑곳 하지 않고 48키로였다. 주위에서 “살 좀 쪄~ 조금만 더 찌면 훨씬 건강해 보일 거야.” 라는 말을 백 번을 듣는다 한들, 나는 48키로의 여자로 살고 싶었다. 평생을 마른 여자로 살아왔기에 마르지 않은 몸을 갖는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웠다. 더욱 솔직하게는 나는 계속해서 여성들의 욕망의 대상이고 싶었다.

    그런데 서른이 넘자 몸의 판도가 약간 달라지기 시작했다. 별다른 노력이라고는 눈곱만큼도 하지 않아도 온전히 48키로였던 내게 변화가 찾아왔다. ‘축복받은 유전자’를 가진 여자라도, 자연의 파편일 뿐인 몸뚱이가 노화를 거스를 수는 없었다. 기초 대사량은 떨어지고 먹는 양은 그대로이다 보니, 1키로가 늘고 다시 1키로가 늘어 몸무게는 50키로가 되었다. 누군가에게는 또 하나의 망언이겠지만, 50키로에 식겁한 뒤로 나의 일상은 변했다.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나는 이미 나 스스로를 퍽 통제하며 살아가지만, 그에 하나를 더한 것이다. 이제는 아주 기본적인 욕구인 식욕을, 그러니까 내 정신과 영혼이 통으로 깃든 내 몸뚱이를 통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정도를 지켜야 한다. 다이어트 때문에 수선스러워 보이면 곤란하다. 나는 생태주의자이면서 페미니스트이고, 자본주의를 반대함은 물론, 목사라는 직업을 가졌기에 싸질러 놓은 게 많기 때문이다. 복인지 화인지는 모르겠으나, 이 자리 저 자리에 불려 다니며 온갖 그럴싸한 말을 많이 한 탓에, 겨우 ‘다이어트나 하는 여자’로 보여져서는 안될 일이었다. 적어도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당당한 여자’라는 주변의 기대를 져버릴 수는 없었다. 표준 몸무게를 훨씬 밑도는 몸뚱이를 가졌음에도, 하루 1500칼로리 이하로 식사량을 제한하고 있다는 사실로 많은 여성들이 불편할까 조바심이 났다. 전달했던 메시지들이 ‘구라’로 취급 당할까 염려됐고, 진정성 없는 여자로 전락될까 두려웠다. 그러나 가만 생각해보면, 이런 염려들은 다 몹쓸 것들이다. 사태의 핵은 다른 이들의 기대감이나 시선에 있는 것이 아닌, 앎과 삶의 분리가 낳은 죄책감으로부터 온 것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은폐되어야 할 것(되었으면 하는 것)들의 폭로, 즉 스스로를 ‘짜가’라고 인식되는 그 순간을 마주하는, 바로 그 좌절감을 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내 방구석에서 행해지는 다이어트지만, 그러니까 누구도 가타부타 말하지 않는 나만의 은신처에서 일어나는 다이어트지만 불편한 마음은 떨쳐지지가 않았다. 아무도 없는 대신, 앎과 삶의 분리가 낳은 죄책감이 나와 함께 있었다.

    코르셋과 뽕브라 따위는 벗어 던져야 한다고 외치면서, 고구마와 닭가슴살을 주워먹고 있는 내 꼬라지가 싫었다. ‘마른 몸’을 향한 욕망은 결국 시장의 논리에서 오는 것을 일찍이 알던 탓이다. 천박한 자본주의적 미의 기준을 표본삼고 있는 것을 인식하기에 스스로에게 부끄러웠다. 웰빙과 몸짱 아줌마는 다른 말이 아니다. 둘은 상품으로서 존재한다. 이와 관련한 구미정의 표현이 비상하다.


주름살과 흰머리, 기미와 검버섯, 터진 배와 늘어진 뱃살은 그 자체가 자연이고, 역사이며, 실존이다. 인간의 삶의 궤적이 가감 없이 기록되고,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묻어나는 정직한 몸은 그 자체가 예술이고, 시이며, 영성이다. 그런데도 ‘젊고 탱탱한 몸’을 우상시하는 시장의 논리 앞에서 정직한 몸은 당장에 추한 몸으로 전락하니, 이 무슨 횡포인가 싶다(구미정, ‘몸의 신학’, 2006).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하자’라는 외침은 페미니즘의 기조와 같은 것이며 나아가 그 자체로 생태적이다. 노화에 마냥 달가울 사람이 어디 있겠냐마는 노화야 말로 자연의 섭리를 온 몸으로 감각하는 일이다. 세월의 흔적을 담은 몸을 포용하는 일이야 말로 사람과 사랑을 배우는 일이며, 정직함을 성취하는 길인 것이다.


    하! 알면 뭐하나. ‘지금, 여기의 나’는 그저 마른 몸 따위를 지향하고 자빠져 있는데…… 속을 파 보면 남성은 물론 여성에게도 ‘예쁜 여자’로서 보여지길 원하는 하질의 에코페미니스트인 것을. 누가 아는 것을 힘이라 했나. 앎은 그저 고뇌이고 고통이며, 죄책감이자 우울감이다.         


    책을 보고 글을 쓰는 일이 늘수록, 살도 함께 늘어난다. 영국에 머물며 살은 조금 더 붙었고, 덕분에 조금 당당해질 수 있었다. 키로 수가 조금 늘 때마다 나의 진정성도 늘어간다. 아무도 모르게 살이 찌고, 아무도 모르게 죄책감에서 벗어난다. 살이 찐 만큼 페미니스트로서의 진정성이 회복되고, 허벅지가 통통해진 만큼 생태주의자에 보다 가까워진다. 단, 죄책감이 덜어지고, 진정성을 얻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울감을 느낀다는 것에 아이러니가 있다. 살이 찌면 못생겨진다는 생각에서는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마른 몸’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왜곡된 기준에서 온다. 그렇다면 이제, 왜곡된 미의 기준을 갈아 마시면 될 일이다. 수십 번, 아니 수백 번을 바꿔 보려 노력해도 이게 쉽지가 않다. 나는 다시 우울감에 젖는다. 이 때, 내 맘 속의 제일 가치는 에코페미니스트가 아닌 것이 탄로 난다. 그게 아니고서 살이 조금 붙었다고 이리 우울해질 수는 없는 일이다. 다만 이 순간 위로가 되는 것은 “나의 육체는 나의 전부이다. 나는 육체 이외의 아무 것도 아니다” 라는 니체의 말이다. 물론, 니체의 이러한 주장은 육체를 덧없는 것으로 간주하며 정신을 강조했던 철학자들을 비판한 것이지만, 나의 고뇌와 실존적 물음들이 ‘몸뚱이’를 통한 것이라고 할 때, 그의 말은 충분한 위로가 된다. 나의 우울감은 “우리의 가장 근원적인 소유물, 우리의 가장 확실한 존재, 요컨대 우리들의 자아로서의 육체”를 곱씹으며 발생한 것이기에 나는 그나마 철학적이었다. 그냥 그렇다 치자.


    오늘 아침 몸무게를 달아보니 51키로를 조금 넘어간다. 3키로어치의 에코페미니즘과 진정성을 얻었다. 물론 3키로어치의 우울감도 함께 얻어왔다. 그러므로 나는 저녁으로 닭가슴살과 토마토를 먹을 것이고, 당분간 라면은 먹지 않을 것이다. 그런 나를 마주하며 나는 다시 죄책감을 느낄 것이며, 그 죄책감에서 벗어나고자 다시 라면을 먹을 것이다. 먹고 빼고, 먹고 빼고, 해방되고 억눌리고, 해방되고 억눌리고, 진짜였다가 가짜였다가, 진짜였다가 가짜였다가. 아주 미친년이 널을 뛴다. 앎과 삶의 분리가 주는 형벌이다. 아는 만큼 살지 못하는 한, 적어도 ‘다이어트 하는 여자’로 사는 한, 나는 제 명에 못 살 것이 분명하다. 이런 나를 누가 구원하겠나. 결국 더한 각성과 반성과 결단 밖에는 없다. 그게 안 된다면 스스로를 좀 놓아주면 되는 일이다. 나약한 나에게 그러한 용기가 작동된다면 말이다. 다만 이 상태가 어느 방향으로든 한동안은 변하지 않을 것을 직감하고 있기에 나는 내가 몹시 안타깝다. 오호 통재라!


* 필자소개

   "한신에서 기독교교육을 공부하고, 킹스칼리지런던에서 조직신학으로 석사 과정을 마쳤다. 현재 박사과정을 준비하고 있다.


ⓒ 웹진 <제3시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