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18] 조르지오 아감벤 I (한수현)

신학비평

by 제3시대 2016. 10. 18. 11:21

본문

[바울신학가이드18]



조르지오 아감벤 I




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1942년생, 이탈리아의 철학자, 그의 저서 [The State of Exception] (예외상태)와 [Homo Sacer] (호모 사케르)로 잘알려져있다. 삶정치(Biopolitics)의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을 개진한다." 이 짧은 서론이 위키피디아에 나와있는 아감벤의 첫 소개이다. 위의 두 저서가 정치학, 사회학, 철학, 신학에 필수적으로 읽어야할 책으로 떠오르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른 과거에는 로마제국 현재에는 이탈리아의 신성으로 떠오른 학자의 이야기를 이제부터 하고자 한다. 필자는 신약신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어서 그의 철학적 깊이를 쉽게 다룰수는 없지만 그의 바울에 관한 책 [The Time That Remains: A Commentary on the Letter to the Romans] (남겨진 시간: 로마서 주석)을 중심으로 바울에 대한 그의 생각을 논할 것이다. 물론 점차적으로 그의 철학적 프로젝의 중심을 논하기도 할 것이다. 

   바로 [남겨진 시간]을 펴보자. 본 서는 쉽게 말하면 로마서 1장 1절, “그리스도 예수의 종인 나 바울은 부르심을 받아 사도가 되었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따로 세우심을 받았습니다.” (개역개정)에 대한 길다면 긴 주석서이다. 원래 본문은 “Παῦλος δοῦλος Χριστοῦ Ἰησοῦ, κλητὸς ἀπόστολος ἀφωρισμένος εἰς εὐαγγέλιον θεοῦ”이고 굳이 직역하자면 “바울, 그리스도 예수의 종, 사도로 부름받은, 하나님의 복음을 위해 구별된” 정도가 되겠다. 먼저 아감벤식으로 용어를 정리하자. 그리스도란 메시아에서 온 말로써 기본적으로 ‘기름부은 자’를 뜻한다. 그렇다면 처음 부분은 “바울, 메시아 예수의 종”이 된다. 아감벤은 본서 처음부터 기독교가 역사를 통해 이 메시아를 그리스도란 말과 분리해내기 위해 무척이나 노력했다고 말한다. 이유는 여러가지이겠지만, 결국 로마서는 메시아 예수에 대한 소개이며 그러므로 ‘메시아적 텍스트’이다.[각주:1] 그리고 이 메시아 예수를 통해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메시아의 시간, “time of the now”이다. (바울이 로마서에서 시간적 개념으로 소개하는 세번의 표현 [τοῦ νῦν καιροῦ (8:18), τῷ νῦν καιρῷ (3:26), τῷ νῦν καιρῷ (11:5)]에서 아감벤이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쉽게 말하면 어느 광고에서 흘러나오는 말과 같은 ‘지금 이순간’이다.[각주:2] 결국 아감벤이 바울을 통해 메시아 예수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메시아사상의 핵심은 바로 메시아의 시간, 지금 이 순간이 어떤 의미를 말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감벤의 시도가 필자에게는 매우 흥미로운데 바로 바울의 새관점주의 이후에 나타난 특정한 바울 해석에 대한 반론으로 읽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바울에 대한 본 웹진의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필자는 소위 ‘바울의 새관점’을 설명하는데 상당 부분을 할애하였다. 그 이유는 새관점주의가 나타나면서 과거의 바울에 대한 설명이 그의 ‘이신칭의,’ 즉 율법이 아니라 믿음으로 받는 구원을 중심으로 한 바울신학이 획기적인 전기를 맞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로 율법을 벗어나 믿음으로 구원받는 것이 아닌 또 다른 바울 신학의 핵심, 즉 왜 바울이 그토록 열심히 에클레시아 (모임: 현재 ‘교회’로 번역되는)를 만들고 서신을 통해 신학적 진술을 했는지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고 하였고, 그에 대한 대답으로 여러 바울신학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필자는 크게 바울신학의 ‘이신칭의’를 새롭게 해석한 제임스 던(James Dunn)이나 톰 라잇 (N. T. Wright)을 소개했고 다른 한편으로 바울의 종말론을 중심으로 놓은 알버트 슈바이쳐 (Albert Schweitzer)나 크리스쳔 베커(Christiaan Beker)를 소개하였다. 특히 던과 같은 학자는 바울의 주요 공격 대상은 유대교의 율법이 아니라 유대교의 민족적 우월감이라고 생각했고, 바울이 집중적으로 공격한 것은 유대교의 아이텐티티 마커 (Identity Markers)라고 하였다. 즉 자신들의 다른 민족들보다 우월하게 만드는 특정한 전통이나 문화 (안식일, 음식법, 할례)가 절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나타난 구원의 지평과 동등될 수 없다고 바울이 목놓아 외쳤다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바울의 신학의 핵심은 어떤 민족성이나 문화등으로 인류를 갈라놓는 모든 형식에 반대하면서 평등하고 선입견 없는 그리스도인이라는 새로운 보편적 공동체의 정초를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학은 보편적 구원의 지평만이 아니라 현실세계의 여러 인종적 갈등과 종교적 충돌을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아감벤의 대답은 단순하다. 바울은 어떠한 새로운 보편적 인간을 말하고자 하지 않았다. 그리고 아감벤은 바울이 말하는 메시아니즘, 즉 메시아적 시간론을 토대로 던의 방식이나 종말론적 방식으로 바울을 보지 않고 이와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메시아론을 바울이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미리 말해두지만 아감벤에 따르면 바울에 대해 오로지 올바르게 이해한 사람은 바울 이래로 아마도 딱 두명일텐데, 처음은 발터 벤야민 (Walter Benjamin)이고 그 다음은 바로 자신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아감벤이 말하는 메시아적 시간이 도대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메시아적 시간, 남겨진 시간(The time that Remains)


    먼저 가장 쉽게 아감벤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예는 본서의 50–51페이지에 나오는 아펠레스와 포로토게네스의 일화이다. 둘다 헬라세계의 위대한 화가였는데, 프로토게네스가 아펠레스에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붓으로 더는 가늘게 그릴 수 없는 선을 그려놓았다. 프로토게네스가 떠난 이후 도착한 아펠레스는 이 선을 보고 자신의 붓을 들어 그 선의 중간을 가르는 더욱 가는 선을 그렸다. 즉, 더 가는 선을 그림으로써 이전의 선이 두개로 갈라지게 된 것이다. 이것은 아감벤은 ‘아펠레스의 절단’ (The cut of Apelles)라고 부른다.[각주:3] 이 소개된 예화로 설명하자면 프로토게네스가 먼저 그린 선은 유대교의 율법이나 로마의 법이 만들어내는 구분선을 뜻한다. 갈라디어서 3장 28절에서 바울은 유대교와 그리스인들, 노예와 자유인들이 모두 구분없이 세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유대교와 그리스인을 분리하는 것이 바로 유대의 율법이고 노예와 자유인을 가르는 것이 로마의 법을 뜻한다.[각주:4] 즉, 당시 바울에게 뛰어넘을 수 없는 장벽처럼 인간을 구분하는 것은 다른 무엇도 아닌 법(Law)이였던 것이다. 바울의 서신에 반율법적인 시각이 있다면 바로 법에 대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한다고 아감벤은 생각한다.[각주:5] (48) 결국 법은 나와 너를 나누고, 민족과 민족, 나라와 나라를 분리한다. 아감벤의 사상을 소개하는 다음편에서 법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서 논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아펠레스의 절단’은 바로 바울이 말하는 새로운 법을 의미한다. 인간이 그릴수 있는 가장 가는 선의 구분 위에 그려 넣음으로 그 이전의 선이 가지는 의미를 무화시켜 버리는 선, 그것은 쉽게 말하면 바울이 스스로를 ‘메시아의 노예’라고 선언함으로 나타나는 효과와 같은 것인데, 아감벤은 바울에게 아펠레스의 선은 ‘육과 영’이라는 구분으로 나타난다고 말한다. 그래서 유대인은 다시 육체에 속한 유대인과 영에 속한 유대인으로 나누어지고, 이방인 또한 육에 속한 이방인과 영에 속한 이방인으로 나누어진다.[각주:6] 그렇다면 바울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영에 속한 유대인과 영에 속한 이방인들을 합쳐서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르고자 함일까? 그렇지 않다. 여전히 영에 속한 유대인은 율법아래 매여있고, 영에 속한 이방인들도 로마의 법 아래에 매여있다. 바울이 육/영이라는 아펠레스의 절단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의 구절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아감벤은 말한다.

    “유대 사람들에게는, 유대 사람을 얻으려고 유대 사람같이 되었습니다. 율법 아래 있는 사람들에게는, 내가 율법 아래 있지 않으면서도, 율법 아래에 있는 사람을 얻으려고 율법 아래에 있는 사람같이 되었습니다. 율법이 없이 사는 사람들에게는, 내가 하나님의 율법이 없이 사는 사람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율법 안에서 사는 사람이지만, 율법 없이 사는 사람들을 얻으려고 율법 없이 사는 사람같이 되었습니다.” (개역개정 고린도전서 9장 20–21절)  

    바울은 자신이 율법이 아니지만, 율법 아래에 있는 사람이자, 그리스도의 율법 위에, 율법 없이 사는 사람이 되었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유대인/헬라인이라는 구도는 사라진다. 즉, 율법아래에 그러나 율법없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바로 율법과 법이라는 프로토게네스의 선의 가운데 육/영이라는 선을 그음으로써 그 선안에 나타나는 새로운 존재들, 즉, 남겨진 존재들을 말하고자하는 것이 바로 바울의 의도라는 것이다. 바로 존재들, 유대인이지만 유대인이 아닌, 이방인이지만 이방인이 아닌 자들이 나타나는 시간이 바로 메시아의 시간이다. 다음 구절을 음미해보자.


    “형제 여러분, 내가 말하려는 것이 이것입니다. 때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 이제 부터는 아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처럼 하고, 우는 사람은 울지 않는 사람처럼 하고, 기쁜 사람은 기쁘지 않은 사람처럼 하고, 무엇을 산 사람은 그것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처럼 하고, 세상을 이용하는 사람은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처럼 하도록 하십시오. 이 세상의 형체는 사라집니다.” (개역개정 고린도전서 7장 29절–31절)   


    전도서 3장은 “모든 일에 다 때가 있다”고 하면서 태어날 때와 죽을때, 심을 때와 뽑을 때… 울 때와 웃을 때를 분리시킨다. 그러나 바울은 이 분리된 시간을 하나로 합친다. 바로 메시아적 시간이다. 바울은 “웃는 것처럼 울라”라고 하지 않는다.[각주:7] “마치 울지 않는 것처럼 울라”라고 말한다. 바로 이 “as if not”이 아감벤이 말하는 바울의 메시아적 시간에 일어나는 핵심적 사건이다. 바로 세상의 어떤 법도, 어떤 효과도 그 효력을 중지하는 시간(Inoperative time)이다. 그래서 바울이 스스로를 그리스도의 노예라고 표현하는 그 표현은 바로 노예와 자유인을 분리하는 로마의 법을 중지시키는 효과를 낳고 유대인과 이방인을 분리하는 유대의 율법의 효력을 소멸시키는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그래서 바울이 자신을 소개할 때 ‘메시아의 노예’라는 표현은 바로 메시아적 소명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효과를 말하는 것이며 모든 법적 조건들이 변화를 맞이하는 순간을 표현한다.[각주:8] 그러므로 ‘부름받은’로 해석되는 클레토스 (κλητὸς)는 더 나아가 모든 소명받은 자들의 커뮤니티인 ekklesia (All Kleseis)로 명명되는 것이다.[각주:9] 바로 메시아적 시간에 메시아적 소명을 받은 새로운 공동체를 뜻한다고 아감벤은 설명한다.  

    그러므로 바울 신학의 핵심은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공동체, 즉 그리스도 공동체를 말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이전의 모든 정체성이 그 효력을 잃어버리는 시간, 메시아적 시간에 나타나는 메시아적 공동체를 말하고 있다. 다음 웹진에서는 이 메시아적 공동체가 어떤 공동체인지 왜 아감벤에게 현시대에서 이 메시아적 시간이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그토록 큰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웹진 <제3시대>


  1. Giorgio Agamben, The Time That Remains: A Commentary on the Letter to the Romans (Stanford,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1. [본문으로]
  2. Ibid., 2. [본문으로]
  3. Ibid., 50. [본문으로]
  4. Ibid., 13. [본문으로]
  5. Ibid., 48. [본문으로]
  6. Ibid., 51. [본문으로]
  7. Ibid., 23. [본문으로]
  8. Ibid., 13. [본문으로]
  9. Ibid., 22. [본문으로]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