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탈향

  • [소식] 탈/향 가을학기 강좌, 사회신학(社會神學) 입문: 아도르노의 「사회」 읽기

    2018.09.12 by 제3시대

  • [소식: 공동연구마당 "탈향,동행"] 2014년 상반기 강독모임 개강

    2014.02.28 by 제3시대

  • [소식: 여름 특별강좌] 봉인된 것 풀기 - 현대미술과 기독교 (이정희)

    2013.07.04 by 제3시대

  • [소식 : 탈/향 2011 겨울학기 강좌] 그리스도교와 종교다원주의 (김진호, 이찬수)

    2010.12.27 by 제3시대

  • [2010 겨울 댓거리 여행] 드라마로 여는 성서 여행!

    2010.01.25 by 제3시대

[소식] 탈/향 가을학기 강좌, 사회신학(社會神學) 입문: 아도르노의 「사회」 읽기

소개_ 사회신학(社會神學)이란 신학의 영역과 사회학의 영역 사이에서, 즉 현대사회의 고통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신학담론과 자본과 국가라는 형태를 취한 현세적 종교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사회이론 사이에서 양자를 접합시키는 문제설정이다. 요컨대 사회신학은 신학의 대상인 종교로부터 사회를 읽어내고 사회학의 대상인 사회로부터 종교를 읽어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사회신학은 오늘날의 세계에서 신(神)은 죽었지만, 또한 죽지 않았다는 모순적인 진단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상품과 화폐의 세계에서 놀라울 정도로 “형이상학적인 교활함과 신학적 변덕으로 가득 찬” 유령적인 존재, 그야말로 ‘일상생활의 종교’를 주관하는 세속의 신과 마주하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신학은 물신(物神)이라 불리는 그 새로운 신이 추동하는 “한쪽 극에..

소식 2018. 9. 12. 11:29

[소식: 공동연구마당 "탈향,동행"] 2014년 상반기 강독모임 개강

공동연구마당 “탈향,동행(脫/向,同行)”2014년 상반기 강독모임 개강 안내 1. 취지: (1) 공부와 수행(영성훈련)을 함께 할 실질적인 에큐메니컬한 신뢰 서클 구성. (2) '하느님의 편들기'라는 공통적인 신학 주제와 각자의 관심사나 연구 과제를 함께 공부하는 모임. (3) 이를 위해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의 아카데미 프로그램인 ‘탈/향’과 신학공부모임 ‘동행’이 공동으로 ‘연구마당’을 열어 장기적이고 단계적으로 운영. 2. 진행: (1) 3월 13일(목)부터 격주 목요일, 저녁 7시부터 10시까지, 약 20분간의 기도(켈틱 매일 기도서 또는 다양한 기도 방법 안내)를 드린 후, 발제 및 토론마당 진행. (2) 장소는 안병무홀 한백교회당(http://hanbaik.synology.me:8080/xe/..

소식 2014. 2. 28. 01:40

[소식: 여름 특별강좌] 봉인된 것 풀기 - 현대미술과 기독교 (이정희)

강의 취지_ 사람은 ‘앎’과 ‘함’으로만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느낌’으로 살아간다. 역사-문화적으로 그리스도인이란 ‘느낌’이 없는 집단으로 규정된다. 여기서 느낌은 감정적인 것(동감이나 공감 같은)이 아니라 감각적인 것이다. 감각적 느낌이 없는, 감각적 느낌으로서의 아름다움에 대한 정서가 메말라버린 집단이 그리스도인 아닌가? 결코, 성서적[히브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을 성서적인 것으로 이데올로기적[교리적]으로 변조하여 그리스도인의 몸을 봉인하고, 그 봉인을 바탕으로 사목-권력(상징-권력)을 강고하게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감각’이다. 감각은 ‘살’(sa.rx)의 운동이고 이 감각운동이 없는 신체는 죽은 것이다. 이 난장-마당에서 묻는 물음은 간단하다. 인간의 원-생명(archi-zoe)인 ..

소식 2013. 7. 4. 15:22

[소식 : 탈/향 2011 겨울학기 강좌] 그리스도교와 종교다원주의 (김진호, 이찬수)

소식 2010. 12. 27. 08:47

[2010 겨울 댓거리 여행] 드라마로 여는 성서 여행!

소식 2010. 1. 25. 17:3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