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화 읽기: 지슬] '지슬'을 대하는 자세 (김현준)

영화 읽기

by 제3시대 2013. 3. 29. 14:34

본문

 

 

<지슬>을 대하는 자세

김현준
(본 연구소 회원, 연세대학교 정치학 석사)

 

영화 <지슬>을 보았습니다. 한국 민족주의의 다양한 양태에 관심 있으면서도, 고향이 제주도인 저로서는 이런 영화에 객관적이고 적절한(?) 감정을 가지기 힘들다는 자격지심에 오히려 영화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살면서 경험한 제주도의 삶과 4.3 사건 당시의 삶 역시 같다고 할 수는 없기에, 저 역시 관찰자(?)의 눈으로 영화를 보고자 했습니다.

일단 영화의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스포일러 혐의를 피하려는 의도도 있지만 제가 이 글에서 의도하는 것은 영화 소개라기보다 이런 영화를 대하는 자세 또는 방식에 대한 제 생각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점을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전체적인 형식은 영화가 하나의 제의(祭儀)의 형식을 빌려 당시의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참사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삶과 정치적 이념이 마주치는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 정도만 이야기하겠습니다.

영화는 마지막에 당시의 사상자 현황과 사건을 주도한 국가폭력과 미군정의 문제를 자막으로 명시하고 현대화된 제주 민요를 들려주며 엔딩 크레딧을 보여줍니다. 사건의 원인을 지적한 점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도 아닙니다. 특히 영화로도 미처 담아내지 못한 당시의 말 못할 참상들을 고려하면 당시의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책임소재를 찾아야 한다는 점에는 동의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분도 지적한 바와 같이, 당시의 피해자들을 아무것도 모른 채 순수하게 ‘당하는’ 사람들로만 비추었다는 사실, 제가 덧붙이자면 사건의 원인과 참상을 지나치게 미시화(가족 및 연인관계의 아픔)하고 그것의 대척점을 국가폭력이라는 추상적 대의, 또는 개인적인 욕정과 매너리즘에 가득 찬 군인들 개개인의 문제로 집약시켜놓았다는 점이 다소 안타까웠습니다. 이에 영화에도 잠간 언급된 바, (제가 사실관계는 잘 모르지만) 당시의 민병대 등 가족과 마을을 지키기 위한 거주민들의 자발적인 움직임들을 포착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국가폭력의 역동적인 반응을 보여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 영화가 진짜 ‘빨갱이’와 국가 폭력 사이에 샌드위치처럼 낀 채, 자신들만의 삶의 의지를 보여주는 일반 거주민들의 삶에 집중하였다면 어땠을까요? 어쩌면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에서 살아남기 위해 모든 방법을 취했던 제주도민의 ‘억척같음(? 어쩌면 야비함)’의 모습 역시 보여줄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만일 그랬다면 당시의 역사적 기억을 지나치게 ‘로맨스화’했다는 비판, 그리고 그것을 구실삼아 변명거리를 찾으려는 일부의 몰지각한 반응에도 적절히 반응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솔직히 제주도라는 지역은 현재는 “이어도 사나-”, “혼저옵서에” “한라봉” 정도로 표상되고, 4.3에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정체성’이 형성되던 시기 ‘무고한’ 양민들이 희생된 곳으로 표상되기 쉽습니다. 참고로 지금 제주도 마트에서 “지슬주세요.”라고 하면 알아들을 사람이 몇이나 될지도 궁금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가끔은 ‘제주도의 삶’ 역시 ‘오리엔탈리즘’화 된 것은 아닌가? 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그런 오리엔탈리즘을 없애기 위해 감독은 개인들의 삶에 집중했지만, 결국 개인과 (민족)국가라는 대당‘사이에 놓여있는 무언가’는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과 호기심은 충족시키지 못했습니다. 갑자기 잔뜩 기대하고 샀다가 그 책에 나온 “제주 허씨”의 뜻을 알고 말 못할 거부감을 느꼈던 ‘문화유산답사기’ 베스트셀러가 떠오르기도 했고, 학부시절 “떠나요~제주도~” 노래를 부르며 “밤별 초롱초롱”을 되뇌던 친구를 불쾌하게 쳐다보았던 경험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4.3 당시 “초토화 작전”의 참사에 불구하고 살아남은 사람들의 자손으로서, 뻔뻔함을 극복하기 위해 당시의 희생자들을 어떤 식으로 추모해야 할지 고민도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학부 때 수업 과제로 자신의 연대기를 국제정치사와 연관시켜 설명하는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저희 할아버지의 형제 중 종손이 4.3의 희생자였다는 사실, 저희 외할아버지가 (4.3이 일어난 당시인지는 명확하지 않은) 비슷한 시기에 제주 모 지역의 군인으로 근무했다는 사실(하지만 진압 투입 여부는 절대 모른다는 사실)을 발견한 경험이 떠올랐습니다. 이 양가적인 기억과 함께 느껴지는 감정은 그 곳에서 ‘살아남았다’는 사실 자체가 죄책감이 든다는, 어쩌면 타향의 분들은 이해하지 못할 감정이었습니다.

극장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에서 ‘천안함 3주기’를 추모하는 새누리당의 포스터에는 “잊지 않겠다.”는 말이 적혀있었습니다. “46용사(?)”의 죽음과 유가족들의 슬픔을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현실 ‘천안함’을 잊지 않는 방식을 소비하는 사람들을 떠올려 봅니다. 심지어 이 영화가 나왔을 때, ‘애국자’를 자칭하는 일부 극단적인 온라인 동호회에서 별점 테러를 했다는 사실이 떠올라 슬픔에 전율이 흐르기도 합니다. 억울하게 죽은 그들의 죽음을 잊지 않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희생자’들을 우리들만의 방식으로 ‘희생자’ ‘용사’들로 사유해버리기 쉽습니다. 그것을 담아내는 그릇이 여전히 지난한 좌-우 논쟁 속에서도 끈적끈적하게 살아있는 국가주의적 관념이라면, 그들이 ‘우리’를 위해 희생된 수동적 주체라는 생각에 젖어버리면 그들은 영원히 우리의 관념 속에 “오리엔트”로 남아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남겨진 ‘추억’들. ‘향수’들이 각자의 마음대로, 제멋대로, 자발적으로, 지속적으로 전유될 때, 우리는 또 다른 ‘4.3’, 또 다른 ‘천안함’을 목도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 웹진 <제3시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