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천안함

  • [영화 읽기: 지슬] '지슬'을 대하는 자세 (김현준)

    2013.03.29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자크 데리다’ 특별기고: 천안함 침몰을 둘러싼 해체론적 독법 (II) (이상철)

    2010.07.15 by 제3시대

  • [시평] 욕망의 습격 (김진호)

    2010.06.18 by 제3시대

  • [시평] 생기 없는 바다 (김진호)

    2010.05.13 by 제3시대

[영화 읽기: 지슬] '지슬'을 대하는 자세 (김현준)

을 대하는 자세 김현준 (본 연구소 회원, 연세대학교 정치학 석사) 영화 을 보았습니다. 한국 민족주의의 다양한 양태에 관심 있으면서도, 고향이 제주도인 저로서는 이런 영화에 객관적이고 적절한(?) 감정을 가지기 힘들다는 자격지심에 오히려 영화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가 살면서 경험한 제주도의 삶과 4.3 사건 당시의 삶 역시 같다고 할 수는 없기에, 저 역시 관찰자(?)의 눈으로 영화를 보고자 했습니다. 일단 영화의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스포일러 혐의를 피하려는 의도도 있지만 제가 이 글에서 의도하는 것은 영화 소개라기보다 이런 영화를 대하는 자세 또는 방식에 대한 제 생각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점을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전체적인 형식은 영화가 하..

영화 읽기 2013. 3. 29. 14:34

[신학 정보] ‘자크 데리다’ 특별기고: 천안함 침몰을 둘러싼 해체론적 독법 (II) (이상철)

‘자크 데리다’ 특별기고 : 천안함 침몰을 둘러싼 해체론적 독법 (II) 이상철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윤리학 박사과정) (지난 호에 이어) 해체론, 비어있는 중심을 꿈꾸다 세상에는 우리가 뭐라고 꼭 집어서 말하거나 드러내보일 수는 없으나, 그 집단의 성원들이 모두 ‘있는 것’으로 암묵적으로 합의한 무언가가 있습니다. 그것이 광의적으로 인간일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고르라면 종교라고 할 수 있겠죠. 일정 지역, 일정 거민들에게 통용되는 그것을 분석하려면 그 지역의 역사와 사회, 문화 전반에 대한 공부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자면 한국 현대사에서 나타났던 일제식민지 시절, 광복, 분단, 한국전쟁, 군사독재, 민주화 운동, 반공, 빨갱이, 좌파……이런 ..

신학비평 2010. 7. 15. 09:15

[시평] 욕망의 습격 (김진호)

욕망의 습격 김진호 (본 연구소 연구실장) 하느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저마다 자기들의 마음에 드는 여자를 아내로 삼았다. ―「창세기」 6장 2절 하느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과 결혼했다는 수수께끼 같은 말은 다섯 개 묵시록의 묶음집인 『에녹1서』의 첫 번째, 「파수꾼의 책」에서 매우 흥미롭게 해석되어 있습니다. ‘하느님의 아들들’은 ‘타락한 천사’인 것입니다. 하느님의 천사들이 타락했다는 생각이 역사 속에 등장한 것입니다. 신의 영역은 거룩하며 정의롭고 완전무결(完全無缺)하다는 일반적인 믿음이 붕괴되고, 그곳조차 부패하여 죄로 오염되었다고 생각하게 된 것입니다. 왜 그런 생각이 침투하게 된 것일까요. 이 물음은 그 시대에 대한 물음과 함께 해명할 때 보다 설득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

시평 2010. 6. 18. 00:40

[시평] 생기 없는 바다 (김진호)

생기 없는 바다 김진호 (본 연구소 연구실장) 주님께서 그들을 벌하시어 멸망시키시고, 그들을 모두 기억에서 사라지게 하셨으니, 죽은 그들은 다시 살아나지 못하고, 사망한 그들은 다시 일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이사야서」 26장 14절 알렉산드로스의 마케도니아 제국 이후 지중해와 메소포타미아 사회를 엮는 가장 중요한 고리는 ‘폴리스’였습니다. 이 고대 제국 시대의 폴리스들은 대체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왕성한 국제교역을 매개로 서로 연동되어 있었습니다. 배는 육로를 통한 운송보다 수십 배나의 운임비를 절감할 수 있었고, 또 비교적 안전하며 또한 대량수송을 가능하게 했지요. 하지만 그만큼 배를 소유하고 운용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합니다. 해서 지중해를 오가는 국제무역의 시대는 부자..

시평 2010. 5. 13. 20:4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