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갱(만화평론가, 연구소 회원)
패널 : 홍혜은(나무), 오수경(청어람아카데미), 계영(출판노동자)
함께 : 정용택(연구소 상임연구원), 유승태(연구소 상임연구원)
1부. 페미니즘과 만남
1. 이번 주제 기획 취지 소개
_지난 방송인 여성혐오 주제와 연속성, 그때 미처 못 다룬 이야기들
(교회 안에서의 여성혐오 등)
2. 여성주의(페미니즘)에 대한 질문
_여성주의란 무엇인가? 나에게 여성주의란?
_왜 여성주의가 최근 한국사회에서 중요한 의제가 되었는가? 왜 우리는 여성주의를 필요로 하는가?
3. 이른바 '남성혐오'라는 것에 대하여 (메갈리안을 중심으로 한 미러링 전략에 대한 논의)
_여권신장된 사회, 남성이 역차별 받는 사회, 메갈리안 같은 커뮤니티가 남혐을 실천하고 조장한다는 남성들의 주장에 대해
_이른바 '남혐' 논란으로 상징되는 남성들의 백러쉬 전개 양상에 대한 설명
_최근의 메갈리안을 둘러싼 논란에 관한 각자의 견해들
#홍혜은 #오수경 #갱 #한이계영 #여성주의 #여성혐오 #여혐 #기독교 #메갈리아 #남혐#페미니즘 #페미니스트
2부
2부. 교회와 페미니즘
1) 교회 안에서의 여성혐오, 여성차별에 관하여
_패널들과 방청객들이 경험한 다양한 일상의 여성혐오 및 여성차별적 사례들, 사건, 제도, 질서, 언어들
_주요 키워드: 사모, 교회오빠, 장로와 권사, 여자목사, 여신도회/남신도회, 남성에게 주로 추천되는 신학의 길, 아버지와 목회자, 하나님 아버지
_교회 안에서의 성별화된 여성 역할의 재생산을 강요하는 질서들
_일상화되고 자연화된 여성차별/여성혐오적 교회 질서의 문제점, 그런 것들이 공론화되지 못하도록 만드는 기제들에 관해
2) 목회자/신학자의 성범죄
_앞서 논의한 1)의 질서와 2)는 별개가 아니라,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는 사실 강조
_목회자/신학자들의 성범죄가 만연할 수 있는 토대, 또는 그것이 은폐/정당화되는 기제
_2차 가해 문제
_정상가족 이데올로기
3) 전체 마무리
_여성혐오에 시대에 교회 안과 밖에서 페미니스트로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