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109)
    • 시평 (122)
    • 특집 (11)
    • 신학비평 (157)
    • 목회마당 (84)
    • 사진에세이 (62)
    • 제3시대 갤러리 (4)
    • 비평의 눈 (99)
    • 페미&퀴어 (42)
    • 시선의 힘 (195)
    • 소식 (191)
    • 영화 읽기 (57)
    • 신앙과 과학 (14)
    • 팟캐스트 제삼시대 (12)
    • 연구소의 책 (19)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소식

  • [소식 : 제 226차 월례포럼] 민주화 이후 에큐메니칼 단체들은 어디로 갔는가?(김민아)

    2019.11.13 by 제3시대

  • [성서아카데미 탈/향] 시와 지혜, 젠더 이슈로 읽어가기(11.20 개강)

    2019.10.25 by 제3시대

  • [소식 : 탈/향 성서아카데미 예수다시보기 시즌 2] 예수운동 참여자의 시선으로(강의 : 김진호)

    2019.09.30 by 제3시대

  • [소식 : 석학초청 신학의 향연] 세계 신학, 한국신학을 향한 기대와 전망(10/14)

    2019.09.27 by 제3시대

  • [소식 : 역공 2회차 세미나] 호슬리 읽기(9/18 개강)

    2019.09.11 by 제3시대

  • [소식 : 민중신학 세미나] 시대의 고통을 생각한다, 안병무를 읽는다.(9/16 개강)

    2019.09.11 by 제3시대

  • [소식 : 구약성서 다시보기 season 2] 예언과 역사, 젠더 이슈로 읽어가기(유연희)

    2019.08.23 by 제3시대

  • [소식 : 224차 월례포럼] 서울에서의 두 가지 성스러운 이야기: 근대화하는 한국에서의 번영복음과 개발복음(서명삼)

    2019.08.22 by 제3시대

[소식 : 제 226차 월례포럼] 민주화 이후 에큐메니칼 단체들은 어디로 갔는가?(김민아)

기획취지_ 올 한해 본 연구소는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공간 및 종교시장의 형성과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고 월례포럼을 진행해왔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지난 6월에 열린 제222차 월례포럼에선 “1970년대 이후 서울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초대형교회 시장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고찰”했고, 이어서 제223차 월례포럼에서는 “빈곤 문제의 발생과 해결이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전개되어 온 사회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성좌를 추적”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9월에 진행된 제224차 월례포럼에서는 그 두 가지 흐름의 논의를 종합하여 도시빈곤과 교회성장 간의 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제226차 월례포럼에서는 한국 기독교 및 한국 사회에 대한..

소식 2019. 11. 13. 19:01

[성서아카데미 탈/향] 시와 지혜, 젠더 이슈로 읽어가기(11.20 개강)

유연희와 함께 퀴어하게 성서읽기! 미국연합감리교회 소속으로 제3시대 연구기획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유연희 박사님은 한국에 퀴어비평을 가장 먼저 소개하신 페미니스트 구약신학자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작업의 일환으로 2008년 2월에 열린 본 연구소 제106차 월례포럼에서 “퀴어비평: 성서를 되찾기”라는 주제로, 그리고 2010년 1월에 열린 제127차 월례포럼에서는 “성서(聖書)의 성(性): 에스겔과 아가의 포르노그래피”라는 주제로 발표하신 바 있습니다. 곧 한글판으로 출간될 (Queer Bible Commentary·QBC)의 기획 및 번역자로 참여하고 있기도 합니다. http://minjungtheology.kr/xe/45534 http://minjungtheology.kr/xe/45576 http..

소식 2019. 10. 25. 16:50

[소식 : 탈/향 성서아카데미 예수다시보기 시즌 2] 예수운동 참여자의 시선으로(강의 : 김진호)

강의취지_ 예수를 역사학적으로 묻는 일은 예수에 관한 이제까지의 교회의 주장이 정작 예수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을 심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역사적 추궁을 한 주체들은 다양하다. 서양의 예수학계가 먼저 등장했다. 그때가 18세기였으니, 서양 예수학계의 역사적 물음의 초점은 근대 부르주아적 질서가 전근대적인 교회주의적 질서에 대한 향한 도전과 전복의 문제의식과 겹친다. 한편 20세기 후반에 이르면, 다양한 주체들이 역사의 예수를 묻는 데 열정을 기울였다. 해방신학자들과 민중신학자들이 대표적인데, 그들의 추궁은 서양의 제국주의와 그것을 번안하여 폭력적 국가를 구축한 제3세계 국가들과 동맹을 맺은 교회의 예수에 대한 비판에 초점이 있었다. 여성신학자들과 퀴어신학자들은 섹슈얼리티를 내부식민지..

소식 2019. 9. 30. 17:31

[소식 : 석학초청 신학의 향연] 세계 신학, 한국신학을 향한 기대와 전망(10/14)

* 이 행사는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행사로서, 10월 월례포럼을 으로 대신함을 알려드립니다. 세계 신학, 한국신학을 향한 기대와 전망 크리스챤아카데미가 버밍햄 대학 수기따라자(R.S. Sugirtharajah)교수와 시카고 신학대학원 테드 제닝스(T.W. Jennings) 교수를 초청하여 신학의 향연을 마련한다. 수기따라자 교수는 포스트콜로니얼 성서해석의 세계적 거장으로 성서에 대한 다차원적인 읽기를 시도하는 학자이다. 그를 통해 눌린 자의 하느님, 밑으로부터의 성서읽기 등의 신학적 해석학이 더 풍요롭게 발전할 수 있었다. 제닝스 교수는 많은 매니아를 확보하고 있는 스타 신학자이다. 한국에서는 퀴어신학자로 방점이 찍혀 알려져 있지만, 그의 주전공은 포스트모던 상황에서 어떻게 그리스도..

소식 2019. 9. 27. 09:49

[소식 : 역공 2회차 세미나] 호슬리 읽기(9/18 개강)

[역·공 2회차 공부모임 ‘호슬리(Richard A. Horsley) 읽기’] 1.. 일시: 9/18~11/20(8주 과정) 2. 주교재: 『서기관들의 반란』, 『예수와 제국』 3. 이끔이: 유영상(010-6600-6261) 4. 장소: 해아서교(서울 마포구 잔다리로 30 해냄빌딩 3층) 5. 참가비: 2만원 * 호슬리 읽기 세미나 참가신청 https://forms.gle/v5WMPqHGksGVMqaa7 6. 소개문 역공이 다시 한 번 모입니다! 더운 날씨를 뚫고 열심히 공부한 그 의지로 다시 한 번 모여, 보다 더 자세한 내용들을 알차게 공부하려 합니다! 앞서 7주 동안 공부하면서 토론이 가장 활발했고, 매주 끊임없이 등장했던 학자를 이번 2회차 모임 주제로 선정했습니다. 묵시문학에 대한 새 이해, 예..

소식 2019. 9. 11. 16:15

[소식 : 민중신학 세미나] 시대의 고통을 생각한다, 안병무를 읽는다.(9/16 개강)

민중신학 읽기 세미나는 한국 민중신학에 초석을 놓은 안병무 선생님의 텍스트를 읽어 나갑니다. 이 세미나는 비판적으로 안병무 선생의 텍스트를 읽으며 그분이 호흡했던 70-80년대와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를 비교-탐구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오늘날 진보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세미나의 목표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시대의 고통을 생각한다, 안병무를 읽는다 : 민중신학 공부모임] 이끔이 : 강군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회원) 일시 : 9/16~12/9 (매주 월요일 / 총 12회 / 오후 7시~9시) 주 교재 : 『역사와 해석』, 『갈릴래아의 예수』 참가 신청: http://bitly.kr/q7CP41W

소식 2019. 9. 11. 16:02

[소식 : 구약성서 다시보기 season 2] 예언과 역사, 젠더 이슈로 읽어가기(유연희)

구약성서 다시보기 Season 2 예언과 역사, 젠더 이슈로 읽어가기 젠더 이슈를 중심으로 어떻게 성서를 읽을 수 있을까? 걱정 마시라. 성서는 그 어떤 관심사로도 만날 수 있는 천재 본문이요, 관대한 책이다. 특히 퀴어이론, 퀴어비평의 시각과 방법론으로 읽을 수 있을 만큼 성서는 급진이다. 예언과 역사를 담아 지루할 듯한 성서 책들을 화들짝 놀랄만큼 신선하게 읽는 접근과 만나보도록 한다. 제 1강(9. 18) : 이사야 - 외국인도 고자도 명성을 누리는 새로운 공동체 제 2강(9. 25) : 예레미야 - 여자가 남자를 안는 젠더의 반전 제 3강(10. 2) : 에스겔 - 트랜스젠더 및 거세 상황인 추방과 포로 제 4강(10. 16) : 에스더 - 드랙퀸 에스더, 크로스드레서 모르드개 제 5강(10. 2..

소식 2019. 8. 23. 12:48

[소식 : 224차 월례포럼] 서울에서의 두 가지 성스러운 이야기: 근대화하는 한국에서의 번영복음과 개발복음(서명삼)

기획취지_ 본 연구소는 지난 6월에 열린 제222차 월례포럼에서 “1970년대 이후 서울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초대형교회 시장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고찰”했고, 이어서 제223차 월례포럼에서는 문제의 근원을 좀 더 깊이 살펴보기 위해 도시개발에서 사회문제로, 즉 ‘공간자본’으로서의 교회에서 ‘사회문제’로서의 빈곤으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여 “빈곤 문제의 발생과 해결이라는 과제를 둘러싸고 전개되어 온 사회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성좌를 추적”한 바 있습니다. 이번 제224차 월례포럼에서는 그 두 가지 흐름의 논의를 종합하여 도시빈곤과 교회성장 간의 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탐구하고자 합니다.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대도시 서울을 중심으로 등장했던 빈곤이라는 사회문제에 대하여 사뭇 다른 방식으로..

소식 2019. 8. 22. 16:48

추가 정보

인기글

  1. -
    -
    [페미&퀴어] 자발적 '아싸' 되기(김정원)

    2019.07.19 19:03

  2. -
    -
    [시평] 누구라도 숟가락을 얹을 수 있는(황용연)

    2019.10.11 12:28

  3. -
    [영화읽기 : 기생충] <기생충>이 내게는 종교영화인 이유(이상철)

    2019.08.07 16:01

  4. -
    -
    [신학비평] 한국적 이야기 신학의 가능성(김진호)

    2019.11.01 10:42

최신글

  1. -
    -
    [시평]하나의 유령, 극우정치라는 유령이 한국개신교를 떠돌고 있다(이상철)

    시평

  2. -
    -
    [목회마당] 지금 이 시간, 우리는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정용택)

    목회마당

  3. -
    -
    [목회마당] 종교의 자리(하희정)

    목회마당

  4. -
    -
    [신학비평] 예수와 여인(김동용)

    신학비평

페이징

이전
1 2 3 4 ··· 24
다음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 30 해냄빌딩 3층
웹진 <제3시대> 3era©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