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부함과 지능의 상관관계
조은채*
어두운 밤길을 혼자 걷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친구가 듣는 여성학 수업에서 저 말과 동시에 강의실 안의 분위기가 싸해졌다고 한다. 몇몇은 대놓고 한숨을 쉬었고, 나머지는 표는 내지 않았지만 실망한 기색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기 자신조차도 그 말의 진부함에 기대가 한풀 꺾이는 느낌이었다고, 친구가 고백했다. 잠깐 말문이 막혔다. 거의 클리셰가 되어버린 그 말이 이제 진부하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쉽사리 부정할 수만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반발심도 들었다. 저 말에 진부함을 느끼고 다들 실망해버릴 거라면, 도대체 여성학 수업에 얼마나 새로운 것을 기대했다는 말인가? 물론, 오랫동안 반복해서 회자된 예시가 진부하게 느껴질 수는 있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밤길을 걸을 때 느끼는 두려움에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는 사실, 그리고 그 차이가 이미 너무 익숙하고 진부해졌지만 조금도 사라지지는 않았다는 사실은, 전혀 진부하지 않았다. 조금 더 세련된 방식으로 페미니즘에 관해서 설명할 수는 없었겠느냐고 순간이나마 느꼈던 아쉬움은 곧 희미해졌다.
물론 저 말에 진부함을 느꼈을 모든 사람을 한 데 묶어 비난하고자 하는 생각은 없다. 사실 진부함을 표현한 것 정도는 여성학 수업에서는 꽤나 준수한 반응일지도 모른다는 것도 머리로는 이해하고 있다. 멀쩡해 보였던, 때로는 심지어 아주 배울만하고 괜찮은 사람이라고 믿었던 사람들까지도 갖가지 헛소리를 앞다투어 정성스럽게 늘어놓는 마당에, 페미니즘이 진부하다고 실망하거나 지적하는 것 정도는 어느 정도 수용 가능한 범위라고 느껴지기도 한다. 그들이 그나마 ‘들어줄 의지’가 있는, 그리고 ‘배울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진부함에 대한 그들의 공격은 이쪽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다른 페미니즘 수업에서 얼마나 많은 한심한 반응들이 있었는지, 아주 잠깐의 시간만 투자해도 수많은 사례를 떠올릴 수 있어서 더욱 그랬다. 친구의 수업에서는 적어도, 페미니즘 수업에서 왜 여성의 입장을 위주로 다루냐고 반발하거나, 교수가 ‘심각한’ 페미니스트라고 불평을 늘어놓는 학생은 없지 않았는가. 그나마 이해할 수 있는 이유로 페미니즘에 공감하지 못하는 그들을 설득하는 것이 일차적인 과제가 아닐까? 들으려고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잡을 수 없는 사례를 제시한 것은 이쪽의 실책이 아닐까? 덜 진부한, 그러니까 더 세련되고 쿨한 방식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여혐은 지능의 문제”라는 말이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소위 ‘과격’하다고 불리곤 하는 페미니스트들이 자주 사용하던 말 중 하나이다. 친구는 내게 그 말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명 높은 지능의 조건을 완비한 주변인들이, 실제로 페미니즘에 관해서 자기보다도 더 많은 학술서나 논문을 읽는 사람들이, 페미니즘 안에 새로운 것이 없었다고 했다고 한다. 여성혐오를 하는 사람들이 바뀌지 않는 이유는, 그들의 지능 문제도 아니고, 그들이 페미니즘을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도 아닐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페미니즘 안에서 그들을 설득할 만한 정밀하고 객관적인 논리나, 과학적인 방법론, 혹은 합리적인 사례들이 없기 때문이 아닌지, 페미니스트인 친구는 조심스럽게 반성했다. 그들을 단순히 ‘지능’이 떨어지는 무리로 매도하는 것은 일시의 후련함 말고는 아무런 이득도 없다고 판단하기도 했다. 친구는 페미니즘이 어떠한 사람들에게는 도저히 수용될 수 없는 이유를, 진부함과 같은 페미니즘 내부의 문제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
틀린 말은 아니다. 분명, 페미니즘은 다양한 방식으로 갖가지 영역에서 작동해야만 하고, 때와 상황에 맞춰 그 형상을 바꿔야만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저 예시를 마냥 진부한 것으로만 느끼고 불평하는 사람들을 과연 설득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그리고 그들을 설득하지 못하는 이유를 페미니즘 내부의 문제로 환원시키는 것은 영 타당해 보이지도 않는다. 처음에는 혼자 걷는 밤길을 떠올려 보라는 저 진술이 진부하게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거기에서 한 발자국도 더 나아가지 못하고 그 진부함에 대해 불평만 하는 사람들이, 과연 설득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사람들일까? 세상의 절반이 매일 마주해야 하는 문제를 그렇게 간단하게 외면할 수 있는, 그래서 그 문제에 조금도 공감할 수 없는 사람들은, 공감 능력이나 감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총체적인 의미에서 지능이 떨어진다고 확장해서 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만약 여성혐오가 지능의 문제가 아니라면, 의도적인 태만을 폐기하든지 감수성을 키우든지 해서 이를 반증해야 하는 것은, 이쪽이 아니라 그쪽일 것이다. 누군가는 매일 직면하는 문제에서 완전하게 격리된, 안락한 곳에 앉아 새로움이나 세련됨의 잣대만을 들이대는 사람들을 합리적이라고, 혹은 지능이 높다고 속 편히 평가할 수는 없다. IQ에서 EQ, 그리고 SQ까지 여러 방면에서 사람의 지능을 평가하는 시대가 아닌가. 그들이 페미니즘에서 고루함이나 진부함의 흔적밖에 찾아낼 수 없었다면, 그것은 사실 페미니즘의 문제라기보다는 총체적인 의미에서, 그들의 지능 문제라고 결론짓고 싶다.
페미니즘이 진부하고 그 어떠한 새로운 통찰도 주지 못한다고 비난하는 이런 부류의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사실 하나이다. 그들은 페미니즘의 올바른 정의나 가야 할 길을 모색하는 것에 큰 관심이 없다. 그들은 자신의 기득권을 의식하든 못 하든 감각은 하고 있으며, 이를 결코 포기할 마음도 없다. 더 반박의 여지가 없는 증거를 제시하고, 더 밀도 높은 주장을 하고, 대단히 효과적인 전략을 선택한다고 하더라도, 그래서 페미니즘이 덜 진부한 것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온갖 수사 아래 감춰진 그들의 본심은 페미니즘이라는 이 지긋지긋한 주제에 대해 이제 영원히 입을 다물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애초에 의지가 없는 이들을 설득할 수 없는 이유를 페미니즘 내부의 문제로 환원시키거나, 페미니즘의 한계라고 인식할 필요는 없다. 그들을 설득하기 위해서 페미니즘이 진부한 것에서 탈피해야 할 이유도 없다. 페미니즘은 단 한 순간도 진부했던 적이 없다. 그저 사회에 만연했던 가부장적 감수성이 이를 진부하다고 규정했던 것뿐이고, 그래서 그렇게 믿어져 왔던 것일 뿐이다. 이제 좋게 설득할 때는 지났다. 차라리 문제를 그들의 지능으로 환원시켜, 그들 스스로 반증과 증명의 굴레에 갇히게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지도 모른다.
* 필자소개
학부에서 예술학을 전공하면서, 조형예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현상을 감상하고 분석하는 법을 배웠다. 동일 전공으로 석사에 진학하여 공부를 이어가고 있다. 관심 분야는 페미니즘과 미디어아트를 비롯한 현대미술이다.
ⓒ 웹진 <제3시대>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