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바울신학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22] 조르지오 아감벤 V - 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

    2017.10.11 by 제3시대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 - 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한수현)

    2017.09.14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 15] 지젝과 바울(II) (한수현)

    2016.04.04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한수현)

    2015.12.08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2] 바울과 종말론 IV - 존 크리스천 베커 (한수현)

    2015.10.19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6]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 (한수현)

    2014.02.28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5] 포스트 모던의 바울신학 (한수현)

    2014.02.03 by 제3시대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22] 조르지오 아감벤 V - 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22] 조르지오 아감벤 IV-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박사) 앞에서도 말했듯이, 아감벤이 보기에 여기서 성스러운 것이 가지는 성격(호모 사케 르)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신에게 바쳐질 수 없으면서, 동시에 죽여도 법에 의해 심판받지 않는다는 두 가지 특성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성스러운 삶(호모 사케르)가 나타난 것은 법과 주권이 생겨날때, 즉 정치와 종교가 함께 배재의 영역을 만들어 낼때 이다. 이러한 아감벤의 말을 듣다보면 이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을 성서에서 찾아낼 수 있다. 바로 바울이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사람이 되심으로써,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속량해 주셨습니다.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

신학비평 2017. 10. 11. 15:12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 - 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박사) 이전 웹진까지 아감벤에 대해 논할 때 그의 저서 [남겨진 시간]을 중심으로 아감벤이 해석하는 바울의 종말론과 메시아론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감벤의 철학중에 [남겨진 시간]은 작은 한 부분에 불과하다. 또한 이 부분은 아감벤의 전체적인 사상의 그림 속에서 볼 때, 더욱 그 의미가 확실히 드러난다. 이번 웹진부터 2회에 걸쳐서 아감벤이 그리는 그림 중에 가장 핵심적인 줄기에 속하는 [호모 사케르](2008, 새물결)를 중심으로 아감벤의 현대 사회에 대한 진단을 살펴본다. 보통 일반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정치를 논할 때, 근대의 민주정치는 길고 긴 인간 정치의 발전에 의한 것..

신학비평 2017. 9. 14. 20:39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 15] 지젝과 바울(I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5] 지젝과 바울(II)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지난번 지젝과 바울에서 주제는 지젝의 라깡 읽기였다. 라깡의 욕망의 도식을 바탕으로 판타지가 어떤 역할을 하며 주체는 어떻게 상징계(심볼릭 월드)에서 빗금쳐지는지, 케보이(나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으로 주체는 상징계 안에서 언제나 불안한 상태로 남을 수 밖에 없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라깡에 대한 이해가 진정으로 힘을 발휘하게 되는 지점은 라깡을 바탕으로 한 지젝의 칸트와 헤겔, 그리고 맑스 (후기 맑스주의를 포함한) 읽기이다. 이번 장에서 주된 텍스트는 물론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을 중심으로 출발하겠지만 이것만으로는 지젝과 바울을 연결시키는 것은 어렵다. 처음 이 책..

신학비평 2016. 4. 4. 16:19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 바울 이해를 위해 다리놓기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베커를 마지막으로 성서학에서 논하는 바울에 대한 논의를 일단 마감하려 한다. 필자가 소개한 학자들 이외에도 바울에 관해 논할 가치가 있는 학자들은 많다. 여기에서 마감하는 이유는 앞으로 논의할 바울연구에 대한 글들에 대한 충분한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이후로 논할 학자들은 성서학의 외부에서 바울에 대하여 논의하는 바디우, 지젝, 아감벤 등이 될 것이다. 보통의 성서학자들에게 이들의 바울읽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현상은 당황스러울 것이다. 이전의 성서학의 결과물들을 완전히 무시한 결과물들이 인기리에 읽히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만약에 필자..

신학비평 2015. 12. 8. 11:08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2] 바울과 종말론 IV - 존 크리스천 베커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2] 바울과 종말론 IV - 존 크리스천 베커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몇년 전부터 범죄 형사류의 드라마 영화가 인기이다. 근대의 여명기에 소위 탐정소설 장르로 시작되어 그 형태와 스타일이 계속 변화해 오기는 하였지만 기본적인 틀은 이성적 추론에 의한 사건의 해결이다. 주인공인 탐정이나 형사는 “이건 불가능한 현상이야”와 같은 완전 범죄나 불가능할 정도로 우연의 연속인 사건들을 파헤쳐서 하나의 그럴듯한 추론을 완성해낸다. 그리고 용의자에게 말한다. “네가 어떻게 그 사람을 죽였는지 알아냈어!” 위의 사진이 요한 크리스쳔 베커이다. 마치 셜록홈즈와 같이 유능한 사립 탐정처럼 생기지 않았는가? 필자가 베커의 글을 읽으면서 계속 든 생각이 그것..

신학비평 2015. 10. 19. 12:20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6]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6]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왜 탈식민주의(포스트콜로니얼리즘)인가? 그것도 바울에 대해 말하는 와중에 뜬금없이 탈식민주의라는 생경한 이야기를 꺼내들어야 할까? 오늘의 웹진에서 필자는 바울을 말하기 위해서, 또는 성서를 현실사회에서 의미있는 말씀으로 끌어오기 위해서 탈식민주의적 관점이 필요함을 역설해 볼 것이다. 탈식민주의가 아니라 탈식민주의적 관점이라고 말한 것을 기억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웹진의 전체를 걸쳐 필자가 말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성서를 현실의 삶 안에서 구체적 메세지로 읽어낼 것인가, 즉 바울신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다시 또한 기억해 주길 바란다.   해체주의라는 표현을 ..

신학비평 2014. 2. 28. 01:41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5] 포스트 모던의 바울신학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5]포스트 모던의 바울신학- 톰 라이트 (N. T. Wright) 를 논하다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1. 들어가며    이천년대의 바울신학의 전체영역에서 가장 ‘핫’한 학자를 꼽으라고 한다면, 톰 라이트 (N. T. Wright) 를 꼽을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진보진영에 속한다고 하지만, 바울에 관한 수업을 들으면 꼭 라이트의 책을 한 권씩은 필수도서로 읽어야 했고, 복음주의 진영에서는 상당히 환영받는 학자중에 들어있고, 보수진영에서도 비판이건 공격이건 있다는 것은 그만큼 자주 읽힌다는 것이니 라이트만큼 골고루 읽히는 바울신학자를 찾는 것도 힘들 것이다. 게다가 라이트의 책은 대부분 한국에 번역되어 있고 그 독자들이 대부분 한국 기존교..

신학비평 2014. 2. 3. 04:0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