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감벤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22] 조르지오 아감벤 V - 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

    2017.10.11 by 제3시대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1] 호모사케르에 대한 본론 I (한수현)

    2017.09.27 by 제3시대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 - 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한수현)

    2017.09.14 by 제3시대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19] 조르지오 아감벤 II (한수현)

    2017.07.19 by 제3시대

  •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18] 조르지오 아감벤 I (한수현)

    2016.10.18 by 제3시대

  • [소식] 2009 신학아카데미 탈/향 봄학기 개강 안내(수정)

    2009.03.20 by 제3시대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22] 조르지오 아감벤 V - 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22] 조르지오 아감벤 IV-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2)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박사) 앞에서도 말했듯이, 아감벤이 보기에 여기서 성스러운 것이 가지는 성격(호모 사케 르)은 앞에서 말한 것처럼 신에게 바쳐질 수 없으면서, 동시에 죽여도 법에 의해 심판받지 않는다는 두 가지 특성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성스러운 삶(호모 사케르)가 나타난 것은 법과 주권이 생겨날때, 즉 정치와 종교가 함께 배재의 영역을 만들어 낼때 이다. 이러한 아감벤의 말을 듣다보면 이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을 성서에서 찾아낼 수 있다. 바로 바울이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사람이 되심으로써, 우리를 율법의 저주에서 속량해 주셨습니다.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

신학비평 2017. 10. 11. 15:12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1] 호모사케르에 대한 본론 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21] 조르지오 아감벤 IV-호모 사케르에 대한 본론(1)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박사) -이번 웹진의 중요 텍스트는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새물결, 2008)입니다. HS로 표기합니다.- 태초에 인간이 있었고, 인간에게는 삶이 있다. 인간에게 하루를 살아간다는 것은 동물의 삶과 같이 그저 단순한 일상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고 고대인들은 생각했다. 일상의 단순한 생명현상으로의 삶과 특정한 사회나 개인으로서의 삶을 구분하는 것이 정치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아감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삶(생명)이라는 말을 표현하는 두개의 단어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HS, 33). 조에(zoe)는 ‘모든 생명체에 공통된 것으로, 살아 있음이라는 단순한 사실’이며 ..

신학비평 2017. 9. 27. 11:33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 - 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20] 조르지오 아감벤 III-호모 사케르에 대한 서론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박사) 이전 웹진까지 아감벤에 대해 논할 때 그의 저서 [남겨진 시간]을 중심으로 아감벤이 해석하는 바울의 종말론과 메시아론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감벤의 철학중에 [남겨진 시간]은 작은 한 부분에 불과하다. 또한 이 부분은 아감벤의 전체적인 사상의 그림 속에서 볼 때, 더욱 그 의미가 확실히 드러난다. 이번 웹진부터 2회에 걸쳐서 아감벤이 그리는 그림 중에 가장 핵심적인 줄기에 속하는 [호모 사케르](2008, 새물결)를 중심으로 아감벤의 현대 사회에 대한 진단을 살펴본다. 보통 일반적인 관점으로 인간의 정치를 논할 때, 근대의 민주정치는 길고 긴 인간 정치의 발전에 의한 것..

신학비평 2017. 9. 14. 20:39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19] 조르지오 아감벤 I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9] 조르지오 아감벤 II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바울서신의 쟁점을 크게 두개로 나누어 본다면 하나는 구원에 관한 것이고 두번째는 종말에 관한 것이 된다. 즉, 구원론과 종말론이다. 조르지오 아감벤은 바울서신을 메시아니즘을 중심으로 읽는 사람이기에 그에게 있어서 바울의 종말론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바울 이전시대에 있었던 유대 종말론을 메시아니즘을 통해 바울이 어떻게 재해석하느냐가 그 방점이 된다. 유대의 종말론은 신의 심판과 다스림이 현재의 역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뜻한다. 그런 측면에서 바울을 이해하는 것은 이천년전이라면 모르겠으나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매우 어려운 도전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않..

신학비평 2017. 7. 19. 10:18

[신학정보 : 바울신학가이드 18] 조르지오 아감벤 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8] 조르지오 아감벤 I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1942년생, 이탈리아의 철학자, 그의 저서 [The State of Exception] (예외상태)와 [Homo Sacer] (호모 사케르)로 잘알려져있다. 삶정치(Biopolitics)의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을 개진한다." 이 짧은 서론이 위키피디아에 나와있는 아감벤의 첫 소개이다. 위의 두 저서가 정치학, 사회학, 철학, 신학에 필수적으로 읽어야할 책으로 떠오르면서 일약 스타덤에 오른 과거에는 로마제국 현재에는 이탈리아의 신성으로 떠오른 학자의 이야기를 이제부터 하고자 한다. 필자는 신약신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어서 그의 철학적 깊이를 쉽게 다룰수는 없지만 그의 바울에 관한 책 [T..

신학비평 2016. 10. 18. 11:21

[소식] 2009 신학아카데미 탈/향 봄학기 개강 안내(수정)

2009 신학아카데미 탈/향 봄학기 개강 2009년 봄을 맞아 신학아카데미 탈/향을 개강합니다. 수강을 원하시는 분은 02-363-9190으로 연락하시거나, yminjung@chol.com으로 수강자 성함/연락처/송금자 이름를 적어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수강료를 입금하실 통장은 신한은행 110-233-305565 (예금주 : 김진호)입니다. * 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수강신청을 미리 하지 않고 오시는 경우 수강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강좌 하나 바울과 현대 - 현대 철학과 현대 성서학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는 사도 바울 탄생 2000년을 기념해 우리신학연구소와 공동기획으로 바울을 인문사회학과 신학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강좌를 마련하였습니다. • 장 소 : 한백교회 (5호선 서대문역 1번출구, 우체국 신..

소식 2009. 3. 20. 23:35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