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 [제 193차 월례포럼 강연실황] 이주와 실천신학 (김혜란)

    2016.06.03 by 제3시대

  • [소식: 공동심포지엄] 탈성직주의 시대의 교회론

    2014.06.06 by 제3시대

  • [소식: 심포지움] 보수의 신 vs 진보의 신, 신들의 전쟁 - 라틴아메리카의 해방신학은 끝났는가 (김항섭)

    2012.09.06 by 제3시대

  • [소식: 석학 초청 강연] 세계화의 도전과 교회의 위기 (민경석)

    2012.06.29 by 제3시대

  • [공동 심포지움] 한국의 종교 전쟁, 한국에서 종교성은 정치와 어떻게 조우하는가?

    2012.02.10 by 제3시대

  • [연구소의 책]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백소영, 엄기호 외 | 이파르)

    2011.07.25 by 제3시대

  • [소식: 평화와 공공성 콜로키움 2010] 지구화 시대 부유하는 청(소)년과 공공성 모색

    2010.10.21 by 제3시대

  • [소식 : 해외석학 초청 강연회] 동성애 혐오를 넘어서 - 교회와 섹슈얼리티 (테드 제닝스)

    2010.05.13 by 제3시대

[제 193차 월례포럼 강연실황] 이주와 실천신학 (김혜란)

포럼취지 이주는 시리아 피난민으로 시끄러운 2016년 현상이 아니다. 인류 초기부터 아니 생명을 지닌 모든 이들이 생존을 위해 겪는 현상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현상이어서 고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주를 경험한 자가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이질감, 집에 왔으나 집이 아니요, 낯선 곳이나, 그 곳에서 친숙함을 느끼는 딱히 안정되지 못하는 정체성의 복잡성이 그 한 고통이다. 동시에 대부분의 이주는 자발적이 아니라 폭력적으로 타의적으로 (전쟁, 빈곤) 자행되기에 더 큰 피해와 아픔이 따른다. 발제자는 이주를 식민주의, 특히 1947년 이후 탈식민주의 상황과 연결을 시키면서 어떻게 이주의 문제가 인종의 다름, 다름에 대한 배제와 차별로 이어지는지 고찰한다. 동시에 이주로 인해 발생하는 중요한 현상, 접촉점 (con..

소식/월례포럼 2016. 6. 3. 17:24

[소식: 공동심포지엄] 탈성직주의 시대의 교회론

소식 2014. 6. 6. 12:20

[소식: 심포지움] 보수의 신 vs 진보의 신, 신들의 전쟁 - 라틴아메리카의 해방신학은 끝났는가 (김항섭)

우리신학연구소와 제3시대그리스도교 연구소가 공동으로 마련하는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미카엘 뢰비의 저서 을 통해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오늘과 최근 급성장하는 복음주의 개신교 상황을 살펴봅니다. (미카엘 뢰비 저, 김항섭 역, 그린비출판사, 2012년) 왕성한 저술활동과 사회운동 참여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미카엘 뢰비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이 책은 라틴아메리카의 ‘해방그리스도교’를 이론적 측면에서, 그리고 실천적ㆍ역사적 측면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한 역작입니다. 책의 제목인 ‘신들의 전쟁’은 두 가지 ‘전쟁’을 의미하는데, 그 중 하나는 진보적인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신 개념과 보수적인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신 개념 사이의 투쟁이고, 더 중요한 다른 의미는 해방신학의 신과 자본주의의 우상들(돈, ..

소식 2012. 9. 6. 09:23

[소식: 석학 초청 강연] 세계화의 도전과 교회의 위기 (민경석)

세계화의 문제를 주제로 신학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민경석 교수님(미국 클레어몬트대학원 종교학과)을 모시고 강연회를 진행합니다. 이번 강연회는 최근 민경석 교수님의 연구 주제인 세계화로 인한 교회의 총체적이고 근본적인 위기에 대해 함께 토론해 보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 민경석(Anselm K. Min) 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클레어몬트 대학원 대학교 종교학과 석좌교수(Dean and Maguire Distinguished Professor)이다.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종교학 박사, 포담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92년부터 클레어몬트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있다. 헤겔과 아퀴나스, 해방 ․ 종교간 대화 ․ 다원주의 ․ 세계화의 문제, 현대 신학과 아시아 ..

소식/월례포럼 2012. 6. 29. 09:26

[공동 심포지움] 한국의 종교 전쟁, 한국에서 종교성은 정치와 어떻게 조우하는가?

소식 2012. 2. 10. 16:13

[연구소의 책]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백소영, 엄기호 외 | 이파르)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 위기의 지구화 시대 청소년이 사는 법 ▷ 지은이 : 백소영ㆍ엄기호 외 지음 ▷ 펴낸곳 : 도서출판 이파르 ▷ 기 획 :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우리신학연구소, 한신대 평화와 공공성 센터 ▷ 2011년 6월 30일 발행 | 값 12,000원 | 304쪽 ▷ 분 류 : 사회>사회비평/비판>한국사회비판 * 책 소개 보러가기 책 소개 지구화 시대 공공성의 위기와 청(소)년의 삶 지구화, 세계화의 폭력적인 확산으로 근대적 민주주의의 제도들이 도처에서 위협을 받고 있다. 그것은 근대적인 공공성의 위기를 의미한다. 최근 공공성 논의가 부각되는 것은 이런 맥락을 갖고 있다. 이 책은 지구화라는 길고 복잡한 터널에 진입하여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한국사회의 공공성의 문제를 다..

연구소의 책 2011. 7. 25. 16:04

[소식: 평화와 공공성 콜로키움 2010] 지구화 시대 부유하는 청(소)년과 공공성 모색

소식 2010. 10. 21. 22:40

[소식 : 해외석학 초청 강연회] 동성애 혐오를 넘어서 - 교회와 섹슈얼리티 (테드 제닝스)

소식/월례포럼 2010. 5. 13. 20:34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