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배근주

  • [비평의 눈] 트럼프의 미국 (배근주)

    2017.01.11 by 제3시대

  • [신학정보] 정치 권력에 대해: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를 생각하며 (배근주)

    2016.11.09 by 제3시대

  • [시평] 진정한 평화와 안보를 위한 기독교인의 발걸음 (배근주)

    2016.08.17 by 제3시대

  • [시평] 총과 남성성 (배근주)

    2016.06.20 by 제3시대

  • [비평의 눈] 평화를 생각하며...(배근주)

    2016.04.18 by 제3시대

  • [시평] 오, 하느님! 이 두려움에서 우리를 구원하소서 : 국가안보와 두려움의 상관관계 (배근주)

    2016.02.22 by 제3시대

  • [시평] 테러리즘과 반이슬람주의 (배근주)

    2015.12.22 by 제3시대

  • [시평] 전쟁 난민들에 대한 짧은 생각 (배근주)

    2015.11.02 by 제3시대

[비평의 눈] 트럼프의 미국 (배근주)

트럼프의 미국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도날드 트럼프 (Donald Trump)가 대통령 취임식을 할 날도 이제 열흘 남짓 밖엔 남지 않았다. 미국 대선 기간 내내 라인홀드 니버 (Reinhold Niebuhr)의 기독교 사회 윤리가 생각이 났다. 비록 나의 사회 윤리 관점이 니버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연구하며 발전해 왔지만, 니버 만큼 미국 자유주의 신학 전통에서 사회, 정치 문제를 분석한 기독교 학자도 드물다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는 니버의 입장에서 트럼프의 미국이 국제 사회에 가져올 불안감을 분석해 보고, 희망의 신학을 생각해 보고 싶다. 니버가 쓴 많은 저서 중에 가장 유명한 책은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Moral Man and Immora..

비평의 눈 2017. 1. 11. 16:22

[신학정보] 정치 권력에 대해: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를 생각하며 (배근주)

정치 권력에 대해 :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를 생각하며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20세기 가장 영향력있는 기독교 사회 윤리학자인 라인홀드 니버 ( Reinhold Niebuhr)는 중앙으로 집중된 힘은 쉽게 타락하기 때문에, 반드시 정치 권력은 다양한 이익 집단들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배되어야 하며, 사회는 윤리적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정치적 이익 집단들이 사용하는 힘을 감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니버는 미국의 민주주의가 소련의 중앙통제식 공산주의보다 낫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미국의 민주주의는 최소한 삼권분립의 시스템을 가지고 운영되며, 대통령이나 어느 이익집단이 정치 권력을 완전히 장악할 수 없도록 제도화했기 때문이..

신학비평 2016. 11. 9. 17:27

[시평] 진정한 평화와 안보를 위한 기독교인의 발걸음 (배근주)

진정한 평화와 안보를 위한 기독교인의 발걸음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미국의 여성 윤리학자 샤론 웰치 (Sharon Welch)의 책 ‘진정한 평화, 진정한 안보Real Peace, Real Security: The Challenges of Global Citizenship (Fortress Press, 2008)’는 평화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실천을 간략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웰치는 특정 국가에 속한 시민이면서 동시에 세계 시민인 우리들에게, “어떻게 하면 종교적, 윤리적 전통을 가지고 있는 국제 사회가 인류에 대한 범죄를 막거나 벌할 수 있을까 (1)”라는 신학적, 윤리적 화두로, 이 작지만 힘있는 책의 서문을 연다. 쉬운 화두가 아니다..

시평 2016. 8. 17. 23:50

[시평] 총과 남성성 (배근주)

총과 남성성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지난 일주일 동안 미국은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게이 나이트 클럽, 펄스(Pulse)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사건으로 떠들썩하다. 현재까지 49명이 죽었고, 53명의 부상자들이 발생한 이 사건은 현재 미국이 겪고 있는 총체적인 문제점들을 보여 주고 있다. 총기 규제, 동성애자들을 상대로한 증오범죄, 이슬람혐오주의, 테러와의 전쟁, 인종 차별주의, 남성 폭력 문제, 문화 충돌과 이민법 개혁과 난민을 받아들이는 문제 등등.이 대량 살상 사건으로 인해, 세계는 올해 11월에 치뤄질 미국 대선, 이슬람 국가 (ISIS)와 전쟁을 치루고 있는 유럽 국가들과 이스라엘의 정치적 이익으로 인해 후폭풍을 맞고 있다. 다수의 시민들과 여성,..

시평 2016. 6. 20. 10:00

[비평의 눈] 평화를 생각하며...(배근주)

평화를 생각하며...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부활절이 지나고, 교회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말이 “할렐루야”와 “평화”이다. 예배형식과 교회 절기, 그리고 거기에 담긴 신학적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공회에서는, 사순절 기간 동안 예수의 부활을 의미하는 “할렐루야”를 입밖으로 내지 않는다. 40일 동안 침묵 속에 묻혀 있던 할렐루야는 부활절 새벽 (또는 부활절 직전 토요일 일몰 후)에, 말 그대로 부활한다. 부활절부터 오순절 성령 강림 주일전까지, 교회에서는 일곱번의 주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 이 기간 동안 읽혀지는 각기 다른 복음서 대부분은 부활한 예수가 그의 제자들에게 “평화”를 기원하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예수의 죽음 후에, 일상이 파괴되고, 두..

비평의 눈 2016. 4. 18. 15:29

[시평] 오, 하느님! 이 두려움에서 우리를 구원하소서 : 국가안보와 두려움의 상관관계 (배근주)

오! 하느님, 이 두려움에서 우리를 구원하소서: 국가안보와 두려움의 상관관계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영어 단어 security는 한국어로 안전, 보안, 안보 등으로 문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요즘 미국에서 한국 관련 기사 중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security이다.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해, 개성 공단을 폐쇄하고, 미국의 록히드 마틴사가 제조한 사드 (THAAD)시스템을 들여오려고 하는 한국 정부. 이 틈을 타서, 국제적 문제아인 북한의 핵 위협에서, 자국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를 들어, 자위대의 지위를 격상하려는 일본. 한반도에서 커지는 미국의 군세력을 자국 안보의 위협으로 보고 경제적, 군사적 대응을..

시평 2016. 2. 22. 20:52

[시평] 테러리즘과 반이슬람주의 (배근주)

테러리즘과 반이슬람주의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지난 11월 13일 파리에서 일어난 테러공격. 그리고 12월 2일 열네명의 목숨을 앗아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샌 버나디노에서 있었던 총격 사건. 시리아 난민들에 대한 전세계적인 인도주의 목소리가 이 두 사건으로 묻혀 버린 것은 너무나도 안타까운 일이다. 2001년 9월 11일, 월드 트레이드 센터를 공격한 테러 사건 이후로, 지난 십여년 동안 세계 뉴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 것이, 이슬람 급진주의자들이 민간인들을 상대로 행한 테러 공격이다. 파리와 샌 버나디노 사건이 서구 미디어들에 의해 재생산되고, 은연 중에 반이슬람 메세지를 퍼트리는 이유는, 이 사건들이 소위 말하는 이슬람 세계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

시평 2015. 12. 22. 10:05

[시평] 전쟁 난민들에 대한 짧은 생각 (배근주)

전쟁 난민들에 대한 짧은 생각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유엔 난민 기구(UNHC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s for Refugee])의 통계에 의하면, 2014년 한 해 동안 전세계적으로 오천 오백만명의 난민들이 발생했다. 이들 중 대부분이 오랜 내전과 기근으로 고통받고 있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출신들이다. 대한민국 인구수와 맞먹는 오천 오백만이란 숫자는 국제 난민들의 규모와 다양성을 보여주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실제로 유엔 난민 기구는 2015년 현재 약 7천만명의 사람들이 무력 충돌과 환경 재앙으로 난민이 될 위기에 처해있다고 한다. 내전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시리아 난민들과 아프리카의 라이베리아, 콩고, 소말리아 출신..

시평 2015. 11. 2. 19:17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