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김강기명

  • [비평의 눈] 민중이 사라진 시대, 민중신학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김강기명)

    2019.01.30 by 제3시대

  • [연구소의 책]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백소영, 엄기호 외 | 이파르)

    2011.07.25 by 제3시대

  • [시평]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2011.03.23 by 제3시대

  • [소식: 139차 월례포럼] 도시, 청(소)년, 그리고 정치의 한 방식 (김강기명)

    2011.02.22 by 제3시대

[비평의 눈] 민중이 사라진 시대, 민중신학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김강기명)

민중이 사라진 시대, 민중신학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김강기명 (베를린 자유대 철학과 박사과정) 작년 한해 이런 저런 경로로 등단한 신인 소설가들 중 가장 큰 대중의 주목을 받았던 작가는 「일의 기쁨과 슬픔」(창비신인소설상 당선작)의 장류진(張琉珍) 작가였다. 창비에서 온라인으로 그의 소설을 공개하자마자 소셜미디어와 커뮤니티들 상에서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난 그의 단편은 (웹상에서의 평가에 따르면) 하이퍼-리얼리즘 자본주의 비판 소설이라 할 수 있는데, 짧은 분량 안에서도 판교 테크노벨리의 IT기업 및 재벌 대기업의 사내문화와 직장갑질, 소셜네트워킹을 기반으로 한 시장거래의 작동방식과 그것을 떠받치고 있는 직장인의 비참에 대해 코메디적 터치로 두텁게 묘사한 이 작품의 작가 본인이 테크노벨리의 한 회사의 ..

비평의 눈 2019. 1. 30. 19:19

[연구소의 책]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백소영, 엄기호 외 | 이파르)

『잉여의 시선으로 본 공공성의 인문학』 - 위기의 지구화 시대 청소년이 사는 법 ▷ 지은이 : 백소영ㆍ엄기호 외 지음 ▷ 펴낸곳 : 도서출판 이파르 ▷ 기 획 :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우리신학연구소, 한신대 평화와 공공성 센터 ▷ 2011년 6월 30일 발행 | 값 12,000원 | 304쪽 ▷ 분 류 : 사회>사회비평/비판>한국사회비판 * 책 소개 보러가기 책 소개 지구화 시대 공공성의 위기와 청(소)년의 삶 지구화, 세계화의 폭력적인 확산으로 근대적 민주주의의 제도들이 도처에서 위협을 받고 있다. 그것은 근대적인 공공성의 위기를 의미한다. 최근 공공성 논의가 부각되는 것은 이런 맥락을 갖고 있다. 이 책은 지구화라는 길고 복잡한 터널에 진입하여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한국사회의 공공성의 문제를 다..

연구소의 책 2011. 7. 25. 16:04

[시평]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연구집단 CAIROS 연구원) 가끔씩 노약자석 앞에 선 임산부에게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우리 때는 밭에서 일하다가 애 낳고 다시 일하고 그랬어."같은 이야기를 하는 장면을 목격하곤 한다. 자리를 양보하면서도 농담조로 저런 이야기를 보태기도 한다. 아마 그 이야기는 사실일 것이다. 단, 그렇게 했어도 살아남은 이들에게 말이다. 고된 시집살이를 계속 하면서 애까지 나아 길렀는데도 살아남은 사람들, 밭을 매다가 애를 낳고 다시 일을 했어도 살아남았던 사람들만이, 그리고 그들의 자식들만이 '말'을 할 수 있기에 그 말은 '사실'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거지만 이 이야기 뒤에는 수많은 은폐된 죽음들이 있다. "우리 때"의 영아사망율, ..

시평 2011. 3. 23. 21:16

[소식: 139차 월례포럼] 도시, 청(소)년, 그리고 정치의 한 방식 (김강기명)

소식/월례포럼 2011. 2. 22. 11:24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