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바울신학가이드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한수현)

    2015.12.08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1] 바울과 종말론 III - 세월호, 바울, 그리고 에른스트 케제만 (한수현)

    2015.08.18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0] 바울과 종말론 II - 바울과 신비주의 II (한수현)

    2014.09.05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9] 바울과 종말론 I - 바울과 신비주의 I (한수현)

    2014.08.06 by 제3시대

  •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8] 바울과 탈식민주의III - 탈식민주의, 바울, 그리고 여성 (한수현)

    2014.06.06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7] 바울과 탈식민주의II - 바울과 제국 (한수현)

    2014.04.30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6]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 (한수현)

    2014.02.28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4] 바울신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한수현)

    2013.11.25 by 제3시대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3] 성서학에서 철학으로 - 바울 이해를 위해 다리놓기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베커를 마지막으로 성서학에서 논하는 바울에 대한 논의를 일단 마감하려 한다. 필자가 소개한 학자들 이외에도 바울에 관해 논할 가치가 있는 학자들은 많다. 여기에서 마감하는 이유는 앞으로 논의할 바울연구에 대한 글들에 대한 충분한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이후로 논할 학자들은 성서학의 외부에서 바울에 대하여 논의하는 바디우, 지젝, 아감벤 등이 될 것이다. 보통의 성서학자들에게 이들의 바울읽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현상은 당황스러울 것이다. 이전의 성서학의 결과물들을 완전히 무시한 결과물들이 인기리에 읽히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만약에 필자..

신학비평 2015. 12. 8. 11:08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1] 바울과 종말론 III - 세월호, 바울, 그리고 에른스트 케제만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1] 바울과 종말론 - 세월호, 바울, 그리고 에른스트 케제만 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세월호 그리고 얼어버린 교회 2014년을 살아온 사람이라면 어떤 형태의 고민이든 세월호에 대해서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정치적, 사회적, 도덕적, 정신적 여파가 한국사회를 휘감아 돌아 마치 유령처럼 이곳 저곳에서 출몰하고 있다. 조금 늦은듯 하지만 세월호 사건에 대한 신학적 반성과 공부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여러가지 면에서 세월호 사건은 한국교회와 신학에 대한 21세기 최고의 도전이다. 보수 일색인 한국교회와 신학에 대해 한국사회의 모든 모순이 집약되어 있는 이 비극적인 사건은 외형만 비대하게 커진 한국교회의 복..

신학비평 2015. 8. 18. 14:17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10] 바울과 종말론 II - 바울과 신비주의 I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10] 바울과 종말론- 바울과 신비주의 II (슈바이처의 바울신학)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우리는 어떻게 구원받았나? 지난 웹진에서 바울의 구원론(또는 칭의론)을 논함에 있어서 종말론적 긴장을 빼고서는 또는 바울의 종말론적 신비신학을 무시하면 안 된다고 하였다. 이번 호에서는 개신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칭의론(Justification by Faith)과 바울의 율법론을 논할 것이다. 슈바이처는 종말론적 그리스도 신비주의를 중심으로 현대 바울의 구원론을 수정하고 있다. 주기도문을 살펴보면, 분명하게 나타나있는 선택받은 자의 구할 것들이 있다. 일용할 양식(주의 만찬과 연관), 죄를 사함(세례, 구속), 유혹에서 벗어남(환난을 피함), 악..

신학비평 2014. 9. 5. 06:55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9] 바울과 종말론 I - 바울과 신비주의 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9] 바울과 종말론- 바울과 신비주의 I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보통 찬양집회나 기도회에서 흔히들 하는 기도를 들어보면 “주님 우리는 새롭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죄악으로부터 우리를 새롭게 하여 주시옵소서.”라는 말을 듣게 된다. 현실의 삶에서 여전히 세상의 원칙에 휘둘리는 사람들의 기도는 마치 기도를 통해 우리의 삶자체가 변화될 수 있다는 믿음위에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왜 교회는 이리도 더디게 변할까? 오히려 더 나빠지는것 처럼 보일까? 왜 우리는 의롭게 되지 못할까? 세례를 받았다는 것은 구원의 인침을 얻었다는 뜻이라고 하는데 왜 아무런 변화도 느낄수 없을까? 필자는 중학교 시절 여름 수련회를 다녀오면 마치 몇일의..

신학비평 2014. 8. 6. 08:29

[신학정보: 바울신학가이드8] 바울과 탈식민주의III - 탈식민주의, 바울, 그리고 여성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8]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II - 탈식민주의, 바울, 그리고 여성 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필자가 다니는 CTS (Chicago Theological Seminary)에서 해방신학과 여성신학을 가르치는 수잔 띠쓸트웨잇 (Susan Thistlethwaite) 교수는 신학교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학자중의 한명이다. UN이나 각종 세계 평화회의에 주요 패널로 참석하기도하고 정치권이나 각종 TV 토론 프로그램에도 얼굴을 비친다. 교회의 각종 강연에서 진보적 신학의 필요성과 여성의 관점에서 교회의 복음등이 재해석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그녀가 이야기 해준 여러 재미있고도 의미심장한 에피소드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를 소개하는 것으로 글을 시작..

신학비평 2014. 6. 6. 12:42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7] 바울과 탈식민주의II - 바울과 제국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7]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I - 바울과 제국 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왜 주류신학에서 탈식민주의를 말하지 않는가? 이전의 웹진의 글에서 원래는 식민주의 시대 이후의 정치적 텍스트 읽기의 한 방법인 탈식민주의가 어떻게 성서 해석의 장으로 들어왔고, 성서가 쓰여졌을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얼마나 잘 맞아떨어지는가를 논했다. 더 나아가 탈식민주의 이론의 발달로 인해 영미의 인문학과 신학이 자신의 오만을 반성하고 새로운 텍스트 읽기를 인정하는 중요한 단초가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이번 웹진은 그러한 탈식민주의적 성서읽기가 어떻게 신약성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짧게나마 다루어 보고자 한다. 하지만 먼저 그 전에 이른바 진보적 성서읽기가 왜 신학교의 ..

신학비평 2014. 4. 30. 00:48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6] 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6]바울신학과 탈식민주의I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왜 탈식민주의(포스트콜로니얼리즘)인가? 그것도 바울에 대해 말하는 와중에 뜬금없이 탈식민주의라는 생경한 이야기를 꺼내들어야 할까? 오늘의 웹진에서 필자는 바울을 말하기 위해서, 또는 성서를 현실사회에서 의미있는 말씀으로 끌어오기 위해서 탈식민주의적 관점이 필요함을 역설해 볼 것이다. 탈식민주의가 아니라 탈식민주의적 관점이라고 말한 것을 기억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웹진의 전체를 걸쳐 필자가 말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성서를 현실의 삶 안에서 구체적 메세지로 읽어낼 것인가, 즉 바울신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다시 또한 기억해 주길 바란다.   해체주의라는 표현을 ..

신학비평 2014. 2. 28. 01:41

[신학 정보: 바울신학가이드4] 바울신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한수현)

[바울신학가이드4]바울신학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바울신학의 새관점 - 제임스 던(James Dunn) 한수현(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E. P. 샌더스, 제임스 던, 그리고 바울신학의 새관점    지난번 글에서 E. P. 샌더스 (E. P. Sanders)를 다룸으로써 이른바 뉴퍼스팩티브를 논하기 위한 대략적인 밑그림이 그려졌다. 이번 글에서는 뉴 퍼스팩티브(The New Perspective)라는 신조어를 만들었고, 샌더스의 연구결과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바울신학을 새로쓴 제임스 던(James Dunn)의 주장에 대해 살펴보면서 그의 연구가 바울 신학계에 의미하는 바를 이야기해 볼 것이다.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계약적 율법주의’(언약적 율법주의)와 ‘..

신학비평 2013. 11. 25. 15:04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