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역사

  • [소식 : 탈향 역사강좌] 탈진실 시대, 역사적 진실은 어떻게 생산되는가?(강사, 백승덕)

    2019.06.07 by 제3시대

  • [신학정보] 전승, 역사, 그리고 텍스트 II : 역사 (이해청)

    2016.11.09 by 제3시대

  • [소식] 2009 가을 탈/향 회원강좌 - 역사로 읽는 성서 II (김진호)

    2009.09.25 by 제3시대

  • [소식] 2009 봄 탈/향 개강 안내

    2009.02.27 by 제3시대

[소식 : 탈향 역사강좌] 탈진실 시대, 역사적 진실은 어떻게 생산되는가?(강사, 백승덕)

탈진실 시대, 역사적 진실은 어떻게 생산되는가? 강의소개_ ‘탈진실(post-truth)’ 바람이 거센 시대입니다. 탈진실 바람은 거짓말과 한 가지 면에서 결정적으로 다릅니다. 거짓말쟁이들은 자신이 하는 말이 진실이 아닌 줄 뻔히 알면서도 뻔뻔하게 말을 내뱉습니다. 반면에 탈진실 정치인들은 진실 여부에 대해선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분노를 일으키고 공포를 조장할 수만 있다면 진실이 무엇이든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역사적 진실에 대한 논쟁 역시 탈진실 바람의 한복판에 위태롭게 놓여 있습니다. 최근 극우인사들이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들을 공격하는 ‘망언’을 쏟아냈듯이 ‘아니면 말고’식 주장들을 공공연히 떠드는 행태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탈진실 시대를 맞아 역사학의 전문성은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역사학..

소식 2019. 6. 7. 00:51

[신학정보] 전승, 역사, 그리고 텍스트 II : 역사 (이해청)

전승, 역사, 그리고 텍스트 II : 역사 이해청 (성공회대 박사과정 / 탈식민성서해석학) 1. 사실 및 진실 추구로서의 역사 역사란 무엇인가? 대체로 사람들은 특정한 시기에 일어난 사실에 관한 기록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역사를 허구와는 다른 성격을 띠는 소위 진실에 관한 기록으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역사란 종종 거짓내지는 환상으로 취급되고 있는 신화와 대척관계에 있는 그 무엇이라고 할 수 있다. 진실에 관한 기록으로서의 역사라면 적어도 신화적 성격들은 서술에서 추방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키는 셈이다. 또한, 이러한 점에서 비록 역사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 것은 아니었을지라도, 플라톤의 다음과 같은 말은 음미해 볼만하다. 호메로스나 그 밖에 다른 시인들은 우리가 이 구절들과 그런 따..

신학비평 2016. 11. 9. 17:27

[소식] 2009 가을 탈/향 회원강좌 - 역사로 읽는 성서 II (김진호)

역사로 읽는 성서 II 부족사회와 군주제사회 야훼신앙의 역사 • 강의 구성 제1성서(구약성서)의 기초가 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유다 왕국 말기인 히스기야 왕 혹은 요시아 왕의 왕실 서기관들에 의해 왕국의 역사 편찬의 일환으로 저술되었다. 그러므로 유다왕국의 역사와 제1성서의 많은 부분은 내적인 연관을 맺고 있다. 그리고 유다 왕국은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 그리고 군주제 이전 시대인 부족연합사회의 여러 설화들로부터 왕국 역사의 큰 빚을 지고 있다. 이 강의는 팔레스티나의 두 군주국과 그 이전 부족연합사회의 역사와 제1성서를 함께 공부함으로써, 야훼신앙의 뿌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 강의 구성 첫째 마당(10.22) | 유다의 역사의 시작 둘째 마당(10.29) | 다윗은 존재하였는가? ..

소식 2009. 9. 25. 17:34

[소식] 2009 봄 탈/향 개강 안내

많은 분들이 '애타게' 기다리던 탈/향 강좌가 드디어 개강합니다!! 여러가지 사정으로 겨울 강좌는 개설하지 않고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간 연구소 내실을 다지며 '각오'를 새롭게 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런 만큼 2009년 봄 강좌는 전보다 더 알차고 더 좋은 강좌로 준비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봄 강좌는 총 2개의 강좌가 열립니다. 강좌 하나. 포스트 예수운동의 사회사 - 역사로 읽는 성서 I 지난해 말 출판기념회로 소개해드린 바 있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사회사』를 토대로, 초기 그리스도 신앙 공동체를 사회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강좌입니다. 역사적 분석을 통해 그리스도교와 성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 강사 : 김진호 (본 연구소 연구실장) ■ 수강료 : 8만원 (CMS 후원자 ..

소식 2009. 2. 27. 18:41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