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웹진16호

  • [신학 정보] 게달리야 - 민족이냐 민중이냐 (김진호)

    2009.10.15 by 제3시대

  • [목회 마당] 아, 에큐메니칼 (손성호)

    2009.10.15 by 제3시대

  • [목회 마당] 하느님을 들먹거리기 전에 (한문덕)

    2009.10.15 by 제3시대

  • [소식] 125차 월례포럼 - 아시아 빈곤 현실과 한국교회의 과제

    2009.10.15 by 제3시대

  • [소식] 2009 가을 탈/향 회원강좌 - 역사로 읽는 성서 II (김진호)

    2009.09.25 by 제3시대

  • [소식] 2009 가을 탈/향 일반강좌 - 전철의 [과학신학]

    2009.09.25 by 제3시대

[신학 정보] 게달리야 - 민족이냐 민중이냐 (김진호)

게달리야 민족이냐 민중이냐 김진호 (본 연구소 연구실장) 1 ‘민족’이라는 사회적 결속체는 역사적으로 대개의 경우 종족보다 커다란 범위에서 형성되며, 이러한 결속을 보증하는 정치제도적 장치는 종족적 혈연성 범주보다 훨씬 복잡한 경향이 있다. 그런 점에서 국가는 많은 경우에 민족과 쌍개념을 이루는 역사적 실체다. ‘국가’가 영토에 대한 배타적 독점권을 유지하는 제도적 통치형태로서, 기본적으로 폭력수단을 통한 강제력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은, 민족이라는 것이 소수에 의한 자원의 전유 및 그러한 전유를 위한 폭력 수단의 독점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결속체로서 역사적으로 형성 전개되어 왔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민족은 상징의 공유 및 문화적 동질성을 결속의 전제조건으로 하고 있다. 즉 문화적 상징적 유대가 없다면..

신학비평 2009. 10. 15. 14:34

[목회 마당] 아, 에큐메니칼 (손성호)

아, 에큐메니칼 손성호 (밀알교회 목사) 최근 우리는, 세계교회 에큐메니칼 운동판에서 두 개의 굵직한 뉴스를 받아 들었다. 하나는, 새로운 세계교회협의회(이하 WCC) 총무로 노르웨이 출신 신학자이며, 에큐메니칼 운동가인 올라프 F. 트베잍 목사가 한국교회가 추천한 후보자를 제치고 피선되었다는 소식이었고, 다른 하나는, 같은 단체의 2013년 차기 총회(10회) 장소가 사도바울이 회심한 곳으로 알려진 시리아 ‘다마스쿠스’를 제치고, ‘부산’으로 결정되었다는 소식이었다. 두 사안은 지난 8월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교회협의회 중앙위원회’에서 함께 다루어졌다. 에큐메니칼 운동 안에서 여기에 어떤 정치적 이해관계가 있었으며, 그 결과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서는 관심 밖이다. 다만, 투표가 있기 전, 명성..

목회마당 2009. 10. 15. 14:32

[목회 마당] 하느님을 들먹거리기 전에 (한문덕)

하느님을 들먹거리기 전에 한문덕 (향린교회 부목사) 2008년 12월 30일 오전에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나의 할머니는 1911년생이시다. 그러니까 자그만치 98년이나 사시다 하늘로 가셨다. 무학(無學)이기에 무지몽매하지만 악착같이 살았다. 그러나 인생 내내 가난은 면치 못했고, 토속신앙을 오래도록 간직하다가 암 걸린 셋째 딸의 눈물어린 전도로 여든 살이 훌쩍 넘은 말년에 교회에 다니셨던 할머니였다. 나는 귀한 맏손자였기에 할머니께 귀여움을 많이 받으며 자랐고, 또 할머니랑 친하게 얘기도 나누고 흰머리도 뽑아드리고 귀지도 파드리곤 했다. 할머니는 TV를 보시며 언제나 중얼거리셨다. “참 좋은 세상이다~ 방안에 앉아서 세상 팔도를 다 보니 말이다.” 내가 애니메이션을 보고 있으면 “어떻게 저런 것들이 움직..

목회마당 2009. 10. 15. 14:14

[소식] 125차 월례포럼 - 아시아 빈곤 현실과 한국교회의 과제

소식/월례포럼 2009. 10. 15. 13:59

[소식] 2009 가을 탈/향 회원강좌 - 역사로 읽는 성서 II (김진호)

역사로 읽는 성서 II 부족사회와 군주제사회 야훼신앙의 역사 • 강의 구성 제1성서(구약성서)의 기초가 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유다 왕국 말기인 히스기야 왕 혹은 요시아 왕의 왕실 서기관들에 의해 왕국의 역사 편찬의 일환으로 저술되었다. 그러므로 유다왕국의 역사와 제1성서의 많은 부분은 내적인 연관을 맺고 있다. 그리고 유다 왕국은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 그리고 군주제 이전 시대인 부족연합사회의 여러 설화들로부터 왕국 역사의 큰 빚을 지고 있다. 이 강의는 팔레스티나의 두 군주국과 그 이전 부족연합사회의 역사와 제1성서를 함께 공부함으로써, 야훼신앙의 뿌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 강의 구성 첫째 마당(10.22) | 유다의 역사의 시작 둘째 마당(10.29) | 다윗은 존재하였는가? ..

소식 2009. 9. 25. 17:34

[소식] 2009 가을 탈/향 일반강좌 - 전철의 [과학신학]

전철의 [과학신학] - 21세기 과학시대를 대면하는 신앙 • 일자 : 2009년 10월 20일-11월 24일 (6강) • 장소 : 서울 서대문 안병무홀 • 시간 : 오후 7시 • 강의일정/개요 (클릭하면 세부정보가 제공됩니다) | 10월 20일 1. 과학과 신학 - 자연학과 신학의 관계 하이데거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과학은 사유하지 않는다.” 과학은 현존하는 자연과 결부된 법칙과 원칙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므로 과학은 본성상 자연과 세계의 경험에 대한 반성의 속성을 지닌다. 그에 비해 신학은 세계의 근거와 경험 가능성에 대하여 성찰한다. 과학은 세계를 진술하고 신학은 세계의 특이점을 진술한다. 여기에 과학적 사유와 신학적 사유의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현상에 대한 진술의 형식을 지닌 과학과 현..

소식 2009. 9. 25. 17:25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