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시회

  • [비평의 눈] 자우녕 작가의 〈서울_기억_반기억〉 전시회를 관람하고 라운드 테이블에서 대화를 나눈 뒤(최진영)

    2017.05.17 by 제3시대

  • [소식: 기독교미술 전시회] 김용님, 생명나무전

    2012.03.05 by 제3시대

[비평의 눈] 자우녕 작가의 〈서울_기억_반기억〉 전시회를 관람하고 라운드 테이블에서 대화를 나눈 뒤(최진영)

자우녕 작가의 〈서울_기억_반기억〉 전시회를 관람하고 라운드 테이블에서 대화를 나눈 뒤 최진영 (Colgate Rochester Crozer Divinity School 교수) 역사서술은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을 기록하는 것이다. 박물관, 교과서, 기념비 등은 기록된 역사를 보존한다. 기록된 역사 외에 과거를 보존하고 과거와 관계 맺는 다른 방법들로 구전과 기억 등이 있을 것이다. 역사를 쓸 수 있는 도구와 권력을 소유하지 못한 민중들은 주로 구전과 기억을 통해 과거를 그들의 현재의 삶의 일부로 만든다. 그들은 기억에 기초해서 이야기를 구성하기도 하고 이야기를 통해 기억하기도 한다. 때로 기억된 이야기들은 일기나 메모의 형식으로 기록되기도 한다. 공식적인 역사서술은 획일적이고 그 해석도 제한되어 있는 반면..

비평의 눈 2017. 5. 17. 14:12

[소식: 기독교미술 전시회] 김용님, 생명나무전

우리 연구소의 회원이시기도 한 김용님 선생은 여성의 시각으로 성서와 신앙전통을 재해석하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셨습니다. 부활절에 즈음하여 나무를 화판 삼아 작업하신 작품들을 전시하는 자리가 열립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김용님, 생명나무전 2012. 3.14(수)~19(월) 목인갤러리(서울 종로구 견지동82/ 02-722-5066) 나무를 깎으며, 예수를 생각하며 숲 속에 쓰러진 나무토막들을 깨워 작업실로 불러 들였다. 껍질을 벗기고 상처를 도려내, 한 얼굴을 향하여 깎아나갔다. 내 긴 방황의 막다른 골목마다에서 외마디처럼 부르던 한 사람, 어두운 들판을 서성일 때 불현듯 허기처럼 달려오던 한 얼굴, 내 한 생애가 더듬어 온 한 표정을 나무에 새긴다. 껍질을 벗은 나무의 속살로부터, 멀..

소식 2012. 3. 5. 22:13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