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서평

  • [비평의 눈 : 당신들의 신국] 당신의, 당신을 위한, 당신에 의한 (박만희)

    2018.06.28 by 제3시대

  • [비평의 눈] 성스러운 끈을 절단하는 아무도 아닌 이(김윤동)

    2017.05.31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서평] 카메라 루시다 (오종희)

    2014.04.30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서평] 법 밖의 정의 - 바울의 메시아적 정치론에 대한 짧은 소개서 (한수현)

    2013.05.27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미국땅에서 ‘한. 정. 살림’의 통분 불/가능성을 묻다 (이상철)

    2012.10.29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서평] 샌델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정용택)

    2012.06.29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서평] 안경환의 시대유감 (박태식)

    2012.05.20 by 제3시대

  • [연구소의 책: 서평] 거듭나야 할 동성애 혐오증 (이종원)

    2011.09.28 by 제3시대

[비평의 눈 : 당신들의 신국] 당신의, 당신을 위한, 당신에 의한 (박만희)

당신의, 당신을 위한, 당신에 의한 (당신들의 신국 / 김진호 외 / 돌베개 / 2017) 박만희(함께. 걷는. 교회) 당신들의 천국 소설 『당신들의 천국』은 이청준 작가가 1976년에 발표한 작품으로, 한센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소록도를 모델로 한 작품이다. 『당신들의 천국』은 군의관이었던 한 장교가 소록도의 병원 원장으로 부임하여 좌절과 실의에 빠진 한센인들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간척사업을 추진하면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다룬다. 원장은 한센인들을 위해 소록도에 낙토(樂土)를 건설하고자 하지만, 간척사업에 동원된 한센인들과 원장 사이에는 갈등이 끊이지 않는다. 소설을 이루는 치밀한 구조와 깊은 사고, 유려한 문장 등을 다 제쳐두고 나면, 소설은 원장이 세우고자 했던 낙토가 과연 누구를 위한 천국인지를 묻는다..

비평의 눈 2018. 6. 28. 01:57

[비평의 눈] 성스러운 끈을 절단하는 아무도 아닌 이(김윤동)

성스러운 끈을 절단하는 아무도 아닌 이 김윤동 (본 연구소 행정연구원) 이 책(『신정-정치』)이 출간되고 며칠이 지나지 않아 5월 9일 19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고, 이른바 정권의 교체, 민주정부 3기가 시작되었다. 광장을 달구며 ‘탄핵’이라는 점으로 수렴되었던 목소리 중 많은 이들은 승리의 환호를 질렀고, ‘수호되어야 할’ 정부에 대해서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저마다의 의견이 있겠지만, 대다수의 목소리 즉, 이제 세워진 저 권력이 무너지지 않도록 ‘수호’하기만 하면 그 촛불’들’이 말했던 새로운 세상이 열릴까? 이에 대해 ‘신정-정치’는 그간 우리 사회는 많은 이들이 촛불을 들기까지 걸어온 지난한 과정을 이야기하고,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이고 철저하게 은폐함으로 감춰졌던 어두운 역사의 경로를 폭로하..

비평의 눈 2017. 5. 31. 00:41

[시선의 힘: 서평] 카메라 루시다 (오종희)

카메라 루시다 오종희 (본 연구소 회원, 한백교회 교인) 이 세상에 존재를 알린 지 이백년도 안 된 사진은 그것의 선배 격이자 오랜 세월을 두고 우리에게 ‘예술’이란 이미지를 선명하게 남겨준 숱한 천재들을 배출한 ‘회화’에게 향하는 음울한 콤플렉스에서 이미 벗어났는가. 사진의 역사적 흐름을 보자면, 대상의 절대적 재현이라는 사진만의 기능으로 말미암은 사실적 증거자료로, 또는 회화주의 사진과 같은 사진의 자기 탐색이 결여된 시기를 거쳐, 세계대전 등의 보도 사진이 보여주는 실재와 조작, 계몽과 선동, 타인의 고통과 자신의 안락, 정치와 미학 등의 혼재된 경험을 치르며 지금의 디지털 증강 사진에 이르기까지 소비자본주의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그 당사자로서의 독특한 지위를 사진은 향유하고 있다. 한걸음 더 나..

시선의 힘 2014. 4. 30. 00:47

[시선의 힘: 서평] 법 밖의 정의 - 바울의 메시아적 정치론에 대한 짧은 소개서 (한수현)

법 밖의 정의 바울의 메시아적 정치론에 대한 짧은 소개서 한수현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박사 과정) 몇 년 전 하바드 대학의 한 교수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책을 펴들고 쏟아지는 질문 공세에 무장해제되어 ‘정의’가 가지는 복잡함에 주눅이 들었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 저자가 슬쩍 끼워 놓은 답안에는 고개를 갸웃거릴 수밖에 없었다. 이른바 ‘공동체주의’라는 살짝 매력적인 단어를 꺼내놓고 결국 ‘정의’의 실현을 국가 정치의 장으로 제한하고, 열린 토론에서 ‘최선’이나 ‘차선’의 선택이 바로 ‘정의’라고 하는 결론에 쉽게 수긍이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저자는 그것이 자신의 완전하지 않은 의견이라고 밝히기는 하였다.) 물론 내용 중에는 고개가..

시선의 힘 2013. 5. 27. 14:06

[신학 정보] 미국땅에서 ‘한. 정. 살림’의 통분 불/가능성을 묻다 (이상철)

미국땅에서 ‘한.정.살림’의 통분 불/가능성을 묻다 이상철 (Chicago Theological Seminary / 윤리학 박사 과정) Korean Resources for Pastoral Theology: Dance of Han, Jeong, and Salim’ (Pickwick Publications, 2012) James Newton Poling and HeeSun Kim 오늘날의 신학은 세계화된 세상속에서 차이와 다름에 대해, 다양성과 상이성에 대해서 열린 사고를 요청한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여러 가지 혁신적인 신학들이 싹터 올랐다. 흑인신학으로부터도 소외되고, 백인 페미니스트 신학으로부터 소외되었던 흑인여성신학자들이 womanist theology를 이야기하고, 수 천년 동안 종교적으로 사회..

신학비평 2012. 10. 29. 00:34

[시선의 힘: 서평] 샌델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정용택)

샌델이 말한 것과 말하지 않은 것 - 마이클 샌델의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에 붙여 정용택 (본 연구소 상임연구원) 정의와 도덕이 시장과 만날 때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안기순 역, 와이즈베리)을 읽는 내내 샌델이 인용하는 수많은 사례들 앞에서 먼저 그의 성실성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체 어떻게 그 많은 사례들을 수집하고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었을까 궁금했다. 사실 이 책이 제기하는 쟁점이 무엇인지를 알아차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이미 샌델의 저작들, 가령 공전의 베스트셀러인 『정의란 무엇인가?』나 『왜 도덕인가?』를 읽은 사람, 혹은 샌델의 하버드 강의 동영상을 한번이라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책 제목만 봐도 샌델이 이 책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머릿속에 그려질 것이다. 샌델의 ..

시선의 힘 2012. 6. 29. 09:56

[시선의 힘: 서평] 안경환의 시대유감 (박태식)

안경환의 시대유감박태식 (대한성공회 장애인센터 '함께사는세상' 지도신부) 달포 전에 안경환 교수의 『시대유감』(라이프 맵, 2012)을 선물 받았다. 진부한 표현이기는 하나, 정말 따끈따끈한 책이었다. 갓 출판된 까닭에 따뜻한 감촉이 표지에 남아있기도 해서였지만 글 하나하나 읽을 때마다 시대의 소리가 귀에 살아 들어왔기 때문이다. ‘아, 그래서 이런 일이 있었던 거구나!’ 라며 무릎을 친 게 한 두 번이 아니었다. 그렇게 책장을 넘겨가며 시대를 들춰보니 마지막 장에 도달했을 무렵엔 어느덧 나도 상당히 유식한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지식을 모임자리에서 한두 가지 풀어 놓으면서 친지들의 경탄에 으쓱해지곤 했다. 『시대유감』은 가히 정보 창고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책이다. 『시대유감』의 가..

시선의 힘 2012. 5. 20. 22:48

[연구소의 책: 서평] 거듭나야 할 동성애 혐오증 (이종원)

거듭나야 할 동성애 혐오증 이종원 (본 연구소 회원) 동성애를 바라보는 눈 “너 때문에 집안이 완전 개꼴이다. 더러운 자식!” 지난해 방영된 SBS 주말드라마 의 한 장면의 대사다. 조카 태섭의 동성애를 알게 된 삼촌은 태섭에게 막말을 퍼붓고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준다. 이 대사는 한국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시선을 대변하기에 충분하다. 지금은 동성애를 다룬 주제가 공중파를 통해 방영되고 스크린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동성애를 바라보는 일반인의 시각 또한 과거에 비해 많이 개방되었다. 21세기에 성적 다양성이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며 유교 사상이 뿌리박혀있던 한국 사회에도 성적 다양성이라는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교회문화는 아직도 동성애라는 단어를 꺼내는 것조차 혐오스럽..

시선의 힘 2011. 9. 28. 21:48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