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시선의힘

  • [전쟁과 평화7] 성(性)스러운 전쟁: 요한 계시록을 통해 본 폭력 (배근주)

    2015.08.18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영원한 일요일’, 우리 예배는 가능한가 (김진호)

    2015.01.29 by 제3시대

  • [전쟁과 평화6] 우리의 적은 인간이 아닙니다: 폭력과 비인간화 (배근주)

    2014.12.02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당신들은 그 상을 수여할 자격이 없다: “소녀 말랄라”와 노벨평화상 (조민아)

    2014.12.02 by 제3시대

  • [전쟁과 평화4] Collateral Damage: 부수적 피해 — ‘부수적 피해’가 ‘부수적’이지 않은 이유 (배근주)

    2014.09.05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사람에게로 가자: 무감 무통의 인간들과 아이리스 머덕(Iris Murdoch)의 도덕적 자아 (조민아)

    2014.08.06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세월호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영상기도 (김현숙)

    2014.06.06 by 제3시대

  • [전쟁과 평화3] 정치적 상처를 치유하기: 회복적 정의와 인간 안보 (배근주)

    2014.04.30 by 제3시대

[전쟁과 평화7] 성(性)스러운 전쟁: 요한 계시록을 통해 본 폭력 (배근주)

성(性)스러운 전쟁: 요한 계시록을 통해 본 폭력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지난 6월 한국은 퀴어 퍼레이드에 반대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목소리와 단체 행동으로 시끄러웠다. 얼마 후 미국은 동성결혼이 헌법에 명시된 미국 시민의 기본 권리임을 대법원이 인정하는 역사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대법원 판결이후, ‘동성결혼 반대’를 헌법에 명시된 ‘종교의 자유’라고 주장하는 기독교 복음주의자들로 인해 약간의 소동이 있긴 했지만, 미국은 대체적으로 조용했다. 미디어들도 이들의 주장에 크게 동요되지 않는 듯 했고, 오히려 동성결혼 합헌 판정에 기뻐하는 성소수자들의 동향을 전했다. 대법원이 합헌 판정을 내리는 기간에 내가 속해 있는 미국 성공회의 전국회의 (Genera..

페미&퀴어 2015. 8. 18. 14:18

[시선의 힘] ‘영원한 일요일’, 우리 예배는 가능한가 (김진호)

‘영원한 일요일’, 우리 예배는 가능한가 김진호 (본 연구소 연구실장) 책의 숭배자 나는 한 때 책에 대한 열렬한 숭배자였다. 책 읽기는 즐겁기도 했거니와 세상에 관한 온갖 비밀을 담고 있는 ‘지혜의 창’이기도 했다. 일상의 스케줄 잡기에서 항상 제일 첫 번째 관심은 ‘무엇을 읽을 것인가’에 있었다. 틈만 나면 도서관과 서점을 뒤졌고, 국내외 전문지들을 훑으며 출판동향을 파악하려 애썼다. 둘째는 책 읽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는 일이다. 지금도 다르지 않지만, 이런 저런 일에 많이 분주했던 시절이라 독서 시간은 늘 부족했다. 해서 밥 먹을 때도 책을 보았고, 화장실에서도 책을 놓지 못했다. 한국신학연구소에서 일하던 시절, 시골 산속에서 건물도 없이 가건물에서 업무를 보던 때다. 화장실도 없어서 바깥에 재래..

시선의 힘 2015. 1. 29. 22:04

[전쟁과 평화6] 우리의 적은 인간이 아닙니다: 폭력과 비인간화 (배근주)

우리의 적은 인간이 아닙니다: 폭력과 비인간화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최근 미국 미주리 주의 퍼거슨 시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을 보며, 저명한 흑인 학자 코넬 웨스트 (Cornell West)가 한 말이 문득 생각났습니다. “지금 우리가 이라크에서 하고 있는 일은 미국 내에서 흑인을 대하는 것과 똑같다. (Cornel West, Democracy Matters, 2005)” 코넬 웨스트는 이라크 전쟁 중 미군이 행한 민간인 학살과 전쟁 포로의 인권유린이 미국 내에서 공공연히 일어나고 있는 흑인 청년들에 대한 조직적인 경찰 폭력, 사회적 편견 등과 같은 선상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웨스트의 주장은 상당히 일리가 있습니다. 16세기 부터 조직적으로..

시선의 힘 2014. 12. 2. 16:16

[시선의 힘] 당신들은 그 상을 수여할 자격이 없다: “소녀 말랄라”와 노벨평화상 (조민아)

당신들은 그 상을 수여할 자격이 없다: “소녀 말랄라”와 노벨평화상 조민아(세인트캐서린 대학 조교수) 열 여섯살 소녀 말랄라 유사프자이. 파키스탄의 스와트 계곡에서 살던 말랄라는 2009년 열 한살의 나이로 이슬람 근본주의 무장세력 탈레반의 여성 탄압과 교육권 박탈을 비판하는 글을 BBC의 블로그에 올리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그녀는 파키스탄 정부군과 탈레반의 전투 속에서 불안한 나날을 보내면서도 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잃지 않았다. 2012년에는 무장괴한의 습격을 받아 머리와 목에 치명상을 입었지만, 전세계인들을 향한 말랄라의 메시지는 오히려 더 힘차고 단호해졌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 극단주의자들은 책과 펜을 두려워 한다. 교육은 그들을 겁먹게 한다.” 말랄라의 말이다. 이 멋진 여..

시선의 힘 2014. 12. 2. 16:15

[전쟁과 평화4] Collateral Damage: 부수적 피해 — ‘부수적 피해’가 ‘부수적’이지 않은 이유 (배근주)

Collateral Damage: 부수적 피해- ‘부수적 피해’가 ‘부수적’이지 않은 이유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Collateral Damage는 군사용어입니다. 보통 한국어로는 ‘부수적 피해’라고 번역이 됩니다. 한국어로 쓴 ‘부수적 피해’는 Collateral Damage의 아이러니를 너무나도 잘 표현해 줍니다. 왜냐하면 ‘부수적’이라는 용어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쟁 중 일어나는 민간인의 죽음과 사회 기관 시설 파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군사용어로써 Collateral Damage는 전쟁 중 일어나는 ‘의도’하지 않은 피해로써, 주로 적군의 주요 군사 시설을 파괴하거나 적군을 공격할 때 일어난 민간인 피해를 일컫고 있습니다. ..

시선의 힘 2014. 9. 5. 06:53

[시선의 힘] 사람에게로 가자: 무감 무통의 인간들과 아이리스 머덕(Iris Murdoch)의 도덕적 자아 (조민아)

사람에게로 가자: 무감 무통의 인간들과 아이리스 머덕(Iris Murdoch)의 도덕적 자아조민아(세인트캐서린 대학 조교수) 왜 아파할 줄 모르는가경악스러웠던 것은 사실 평범해 보이는 그들의 입에서 나온 말들이었다. 4월 16일 그 날 이후 정지된 시간 속에 그저 나날이 반복 되고 있는 이 참사의 시작부터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할 주범들이야, 서로 서로 추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으니 지들도 살려고 저렇게 금수만도 못한 짓들을 하고 있다고 치자. 그러나 저 아무럴 것 없어 보이는, 집 앞에서 마주쳤으면 인사라도 나눴을 이웃들의 입에서 (혹은 손가락에서) 304명의 자식들을 잃은 가련한 부모들을 향해 상상하기도 힘든 폭언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뿐이랴, 그들의 얼굴은 밀양 송전탑 반대 ..

시선의 힘 2014. 8. 6. 08:28

[시선의 힘] 세월호 희생자들을 애도하는 영상기도 (김현숙)

시선의 힘 2014. 6. 6. 12:29

[전쟁과 평화3] 정치적 상처를 치유하기: 회복적 정의와 인간 안보 (배근주)

정치적 상처를 치유하기 - 회복적 정의와 인간 안보 배근주 (Denison University 종교 윤리 교수, 성공회 사제) 지난 2012년 미국 인디애나주의 노트르담 대학교에서 신학과 평화학을 가르치는 다니엘 필폿(Daniel Philpott) 교수는 “정의로운 평화와 부정의한 평화(Just and Unjust Peace: An Ethic of Political Reconcili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라는 책을 출판했습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전통에서 발견되는 평화와 상생의 윤리를 재발견한 이 책은, 물리적 전쟁이나 무력 충돌이 끝난 후, 어떻게 살아남은 자들이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사회를 건설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시선의 힘 2014. 4. 30. 00:48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0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