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승원

  • [사진에세이] Paper sculpture (정승원)

    2016.11.09 by 제3시대

  • [사진에세이] 공간접기 (정승원)

    2016.09.06 by 제3시대

  • [사진에세이] 캔버스 접기 (정승원)

    2016.07.04 by 제3시대

  • [사진에세이] Life Box (정승원)

    2016.05.02 by 제3시대

  • [사진에세이] 프롬나드 (정승원)

    2016.01.22 by 제3시대

[사진에세이] Paper sculpture (정승원)

Paper Sculpture 정승원_Sans titre(무제)_드로잉종이,접기_지름약6m_가변설치_2007 size 50× 65cm 드로잉 종이를 한 장씩 접어 유니트를 만든 후 이것들을 모두 연결시키거나 끼워 넣어 만든 작업 반복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지고, 이로 인해 오브제 자신의 공간을 확장시키며 동시에 전시 공간을 점령하는 관계를 볼 수 있다 종이를 조금 다르게 사용해 보고자 평소 드로잉 하던 종이위에 무언가를 그려서 재현하는 대신 종이 한 장씩 접어서 작업을 하였다 빛과 그림자에 의해 강조 되어진 종이 접은 선을 관찰할 수 있고 오브제와 그것이 설치되는 환경에 대해 인식한다 디테일 1디테일 2 설치전 3 정승원 作 (설치작가) - 작가소개프랑스 부르주 국립 고등 미술학교 졸업, 경기창작센타 입주작..

사진에세이 2016. 11. 9. 17:26

[사진에세이] 공간접기 (정승원)

공간 접기 éspace plié(atelier à dijon, france)_작업실 모서리에 테이프 드로잉_2007 십여 년 동안의 유학생활 내내 프랑스식의 옛 건물들은 이질적이고 익숙하지 않은 공간이었으며, 의식적으로든지 무의식적으로든지 내가 에트랑제 (étranger; 외국인)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했다. 왜냐면 어렸을 때부터 성냥갑 같은 아파트에서 살았고, 도시의 획일화된 생활공간에서 자라왔기 때문이었다. 이사를 할 때면 점점 한국식 아파트와 비슷한 네모 반듯한 거주지를 찾았는데, 접혀진 공간에 관한 작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이렇게 프랑스에서 이방인으로서 잦은 거주지 이동을 경험하면서 부터이다. 그러면서 규율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든지 옮겨 다니며 잠시 머무를 수 있는 곳들이 모두 내 집 이라는 경험..

사진에세이 2016. 9. 6. 11:38

[사진에세이] 캔버스 접기 (정승원)

캔버스 접기 '왜 항상 벽면에만 걸리는 걸까?' 캔버스를 접게된 계기는 클래식한 회화가 걸리는 위치에 의문을 가지면서부터 시작한다. 그러면서 다시 주목하게 된 곳은 전시공간의 '모서리'이다. 이전 작업에서 종이의 접은선 부분과 건물의 내부 공간 모서리에 오리가미의 선을 넣어 그 접히는 지점을 강조하는 작업을 해왔다. 그렇게 강조하던 행위는 그 부분이 평면 공간에서 입체 공간, 건축 공간에서 종이조각 공간, 현실 공간에서 상상 공간으로 변하는 연결지점으로서 의미있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Folding 프로젝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림이 걸리는 벽면이 아닌 가장자리나 구석, 기둥에 마치 종이를 접듯 캔버스를 접어 끼워 넣거나(자르거나) 혹은 모서리에서 약간 틀어져 나오도록 설치를 했다. 종이의 물성을 실험하던 초..

사진에세이 2016. 7. 4. 19:48

[사진에세이] Life Box (정승원)

Life Box • 제작년도: 2014 • 재 료: OSB 박스, 작업실에서 사용중이던 생활도구들, 애완닭과 애완물고기, 모니터 2개 • 사이즈: 252x244x244cm 박스안에 가변설치 2014 경기창작센터 오픈스튜디오에서 전시했던(‘Air Box’전) 프로젝트 성격의 작업이다.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레지던시에 입주하면 스튜디오를 공개적으로 개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마다 작가들은 작업들을 옮기고 작업실 공간을 치우고 정리하게 된다. 나에게는 이런 연례행사같은 행위들이 마치 예전 유학시기의 잦은 거주지 이동과 관련한 정체성의 문제를 연상시킨다. 이전 작업에서 실제 공간을 종이박스처럼 보여지도록 하거나 혹은 박스를 연상시키는 작업들을 많이 해왔다. 종이박스는 이동과 관련해서 우리의 생활속에서..

사진에세이 2016. 5. 2. 11:31

[사진에세이] 프롬나드 (정승원)

promenade 프롬나드 – 산책 1. 대부도의 풍경 1994년, 시흥시의 오이도와 대부도의 방아머리를 잇는 시화 방조제 건설은 대부도 연안의 역사를 다시 쓰는 사건이었다. 대부도로 이주하는 외부 인구 유입이 늘어나면서 대부도는 주민구성이 크게 바뀌었고 개발가치 상승과 함께 연안자원, 환경파괴, 전통생산, 문화유산 소실의 문제와 마주하게 된다. 그래서 프롬나드 프로젝트는 레저와 관광지로서 부분별하게 개발되고 있는 대부도에서 아직 남아있는 서해 섬마을로서의 풍경을 모아 재구성 해보고자 한다. 2. 산책 프롬나드(promenade)는 불어 단어로 ‘산책 혹은 산책로’를 뜻한다. 이는 단순히 ‘걷다’라는 동작 이외에 거닐면서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등의 감각적, 지적 작용도 동시에 유발되는 단어이다. 새로운 ..

사진에세이 2016. 1. 22. 10:49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