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제3시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웹진 <제3시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웹진 <제3시대> (1229)
    • 여는 말 (3)
    • 시평 (138)
    • 시선의 힘 (223)
    • 목회마당 (88)
    • 민중신학 다시 읽기 (3)
    • 프로그램 리뷰 (3)
    • From.3era (1)
    • 소식 (217)
      • 월례포럼 (91)
    • 특집 (14)
    • 비평의 눈 (100)
    • 신학비평 (164)
    • 페미&퀴어 (41)
    • 영화 읽기 (62)
    • 신앙과 과학 (14)
    • 사진에세이 (64)
    • 제3시대 갤러리 (4)
    • [연재] '웰빙-우파'와 대형교회 (김진호) (11)
    • 안병무학교-민중신학아카데미 (6)
    • 팟캐스트 제삼시대 (11)
    • 연구소의 책 (23)
    • 새책 소개 (39)

검색 레이어

웹진 <제3시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죽음

  • [목회마당] 성탄절 성찬식 사례 - 탄생과 죽음이 만나는 성만찬

    2012.01.02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도처에, 당신, 당신, 당신들 뿐 (갱)

    2012.01.02 by 제3시대

  • [시평]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2011.03.23 by 제3시대

  • [새책 소개]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자의 죽음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 산책자)

    2009.12.12 by 제3시대

  • [시선의 힘] 고인(故人)을 추억하는 두가지 방식과 한가지 옳은 방식 (박찬선)

    2009.09.10 by 제3시대

  • [신학 정보]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2) (이상철)

    2009.07.22 by 제3시대

  • [소식] 2009 여름 탈/향 일반강좌 - 죽음과 내세

    2009.06.02 by 제3시대

[목회마당] 성탄절 성찬식 사례 - 탄생과 죽음이 만나는 성만찬

* 아래의 문서는 2011년 한백교회 성탄절 예배에서 사용했던 선찬 예식서입니다. 2011년 12월25일 성찬식 *성찬상 설치 [교회공간의 정 중앙에 테이블을 길게 놓는다. 흰 보를 덮고 그 위에 포도주 잔을 40 여개 놓는다. 떡(증편)을 한 입에 들어갈 수 있게 썰어놓은 접시를 세 곳으로 나누어 놓는다.] *사회자의 멘트(김현숙) 오늘은 2000년 전 베들레헴에서 예수님이 탄생하신 날입니다. 이 기쁜 성탄절에 드리는 성만찬은 어떤 의미일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한 청년이 죽음을 앞두고 마지막 만찬을 하였던 그 시간은 어떠하였을까? 그 시간에 더 살고 싶은 욕망은 없었을까? 더 좋은 세상을 꿈꾸지 않았을까? 아마도 제자들, 여인들, 후견인들 그리고 어머니를 생각하며 인생의 회한에 젖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

목회마당 2012. 1. 2. 14:57

[시선의 힘] 도처에, 당신, 당신, 당신들 뿐 (갱)

도처에, 당신, 당신, 당신들 뿐 갱 (연구집단 CAIROS) 태초에 말이 있었다. 나는 항상 이 문장이 궁금했지만, 왜냐는 물음은 아니었다. 그것보다는 어떤 말이었을지 궁금했을 뿐이었다. 내게 일어났던 ‘어떤 일들’, 그리고 그 ‘일’들에 대한 내 ‘감정들’까지 나는 말할 수 없었으니까. “말하지 마. 널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더.” 십 여 년 동안이나 계속되어 온 금기는, 내게 사랑하는 것보다도 먼저, 나를 사랑해주는 모두에게 버림받는 것에 대한 공포를 가르쳤다. 단지 자신에게 일어났던 일을 이야기하는 것만으로 버림받은 사람들에 대하여, 나는 숱한 사례로 교육받아왔다. 나의 일들에 대하여 이야기 할 수 있었던 곳은 오로지 나 자신, 그리고 아무도 없는 어둠 속ㅡ장롱 안 이었다. 나는 오래도록 장..

비평의 눈 2012. 1. 2. 14:55

[시평]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사랑의 하느님이라는 쉬운 말 앞에서 머뭇거리다 김강기명 (연구집단 CAIROS 연구원) 가끔씩 노약자석 앞에 선 임산부에게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우리 때는 밭에서 일하다가 애 낳고 다시 일하고 그랬어."같은 이야기를 하는 장면을 목격하곤 한다. 자리를 양보하면서도 농담조로 저런 이야기를 보태기도 한다. 아마 그 이야기는 사실일 것이다. 단, 그렇게 했어도 살아남은 이들에게 말이다. 고된 시집살이를 계속 하면서 애까지 나아 길렀는데도 살아남은 사람들, 밭을 매다가 애를 낳고 다시 일을 했어도 살아남았던 사람들만이, 그리고 그들의 자식들만이 '말'을 할 수 있기에 그 말은 '사실'이다. 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는 거지만 이 이야기 뒤에는 수많은 은폐된 죽음들이 있다. "우리 때"의 영아사망율, ..

시평 2011. 3. 23. 21:16

[새책 소개]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자의 죽음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 산책자)

새책 소개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자의 죽음』 지은이 : 당대비평 기획위원회 쪽수 : 276쪽 값 : 14,000원 출판사 : 산책자 출간일 : 2009년 12월 9일 * 책 소개 보러가기* 이 책에는 본 연구소 정용택 연구원과 김진호 연구실장의 글이 수록돼 있습니다. 한겨레 신문에 소개된 기사를 링크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광장의 눈물, 왜 용산을 비켜 흘렀나"(한겨레, 2009.12.12)

새책 소개 2009. 12. 12. 23:13

[시선의 힘] 고인(故人)을 추억하는 두가지 방식과 한가지 옳은 방식 (박찬선)

고인(故人)을 추억하는 두가지 방식과 한가지 옳은 방식 박찬선 (본 연구소 회원) 죽은 자를 추모하는 방식이 따로 있을까. 슬프면 슬픈 대로, 눈물이 나면 나는 대로. 담담하면 담담한 대로. 그렇게 마음 가는 대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 않을까. 2009년 8월 23일. 김대중 대통령의 영결식이 있던 날. 서울광장은 사람들의 발길로 빼곡했다. 그곳에 있던 사람들은 잠시 뒤 이곳에 도착할, 한 시대를 풍미한 영웅을 기다리고 있었다. 지나가는 발걸음도 기다리는 발걸음 옆에 나란히 서 있었다. 마음은 달라도 기다림의 대상은 모두 같았다. 초조한 눈빛으로 스크린을 응시하던 사람들이 웅성거리기 시작했다. 김대중 대통령을 실은(어쩌면 태운) 운구차가 대형 스크린을 통해 자신이 도착했음을 알렸다. 영웅은 죽은 채..

시선의 힘 2009. 9. 10. 15:24

[신학 정보]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2) (이상철)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2) : 죽음의 고고학 考古學 이상철 (시카고 신학교 / 윤리학 박사과정) 죽음의 극복과 근대의 탄생 중세 말 ‘죽음의 무도’는 죽음의 일상성, 죽음의 편재라는 절망적 상황을 춤판이라는 상반된 이미지와 결합시켜 그 비극미를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그(녀)가 비록 대단한 권력과 인기를 가진 왕이나 교황, 혹은 유명한 슈퍼스타라 할지라도 죽음을 피해갈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를 가리켜 사람들은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메멘토 모리’라는 짧은 경구로 대변되는 삶에 대한 허무와 죽음의 공포는 시대에 따라 그 모양새와 강도가 다르긴 했지만 인류역사의 발생과 더불어 끊임없이 이어져 내려왔다. ‘신은 죽었다’고 선언한 니체는 근대 이후..

신학비평 2009. 7. 22. 14:19

[소식] 2009 여름 탈/향 일반강좌 - 죽음과 내세

죽음과 내세 ■ 강사_ 이찬수 ■ 개강_ 2009년 7월 7일 ~ 8월 10일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정각 ■ 장소_ 한백교회 (5호선 서대문역 1번출구, 우체국 신한은행 사이 골목 50m) ■ 수강료_ 6강 6만원 (수강신청 ☎ 02-363-9190, yminjung@chol.com) ■ 강의개요_ 죽음이란 무엇이며 죽고 나면 어떻게 될까. 이른바 ‘존엄사’가 사회적 논의 주제가 되어가면서 죽음 및 내세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이번 강의에서는 그동안 진지한 학문적 탐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왔던 죽음 및 내세의 문제를 다양한 종교 전통의 언어와 세계관을 중심으로, 그리고 역사적 차원을 중시하며 정리해본다. ■ 강의내용_ 1. 유대교의 죽음 및 내세관 - 내세에 무관심하다가 다양하게 분화해간 고대 유..

소식 2009. 6. 2. 19:13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웹진 <제3시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